1. 품질 변동
ㅇ [일본 품질학자 다꾸찌(G.Taguchi)]
- 품질 목표에서 멀어질수록 손실이 발생하며, 이를 줄이기 위하여는,
. 규격에의 맞춤 보다는 변동의 감소에 관심을 두어야 함
- 즉, 품질 변동의 축소에 대한 노력이 요구됨
ㅇ `똑같은 장비로 똑같은 작업방법으로 똑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똑같은 환경하에서,
제품을 만들었다하여도, 결과 품질은 조금이나마 차이가 있음` ☞ 산포 참조
2. 품질 변동의 원인
ㅇ 품질변동의 원인 = 이상원인 (산발적 원인) + 우연원인 (만성적 원인)
- 이상원인 (Assignable Cause)
. 작업자 부주의, 불량자재 사용, 생산설비 이상, 공정 변화, 부적절 교정 등
. 품질변동을 일으키는 원인들 중 우선 제거해야 할 원인 (확률 예측 불가능)
- 우연원인 (Chance Cause)
. 엄격히 관리된 상태하에서도 발생되는 어느 정도의 불가피한 변동을 주는 원인
.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 작업환경의 차이, 식별되지 않을 정도의 원자재 및 생산
설비 등의 제반 특성의 차이 등의 제거하기 어려운 원인들
. 거의 대부분 허용범위 내에 있거나, 향후 어느정도 예측도 가능 (확률 예측 가능)
3. 한편, 안정 상태 (관리 상태) 이란?
ㅇ 일반적으로, 우연요인에 의해서 만 품질에 변동이 있을 경우
- 이를 통계적으로 안정된 상태 또는 관리상태 하에 있다고 함
ㅇ 품질 관리도에서 볼 때,
- 모든 점이 관리한계선 내에 있고,
- 산포 점들의 배열에 규칙성(습성)이 없음
4. 품질 변동의 대처 방식
ㅇ 이상원인 : 현장에서 즉시 적절한 조처 필요 (현장 조치)
ㅇ 우연원인 : 생산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시스템적 접근으로 변동폭 감소 (시스템적 조치)
- 공정의 능력 수준 향상을 위해 시스템적인 접근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