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 Capability Index   공정능력지수

(2025-07-16)

1. [품질관리]  공정 능력 지수
 
  ㅇ 규격 (허용 공차) 내 일관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 능력을 평가하는 지수
     - 즉, "공정의 산포가 규격 범위 내에 얼마나 잘 들어맞는가"를 평가함

  ㅇ 통상, 공차(규격의 상한과 하한의 폭)를 공정능력치( )로 나눈 값 (Cp)
     - 공정능력지수 = (규격 허용폭) / (공정 산포) = (USL - LSL) / 
                    = (기술 요구 상하한 범위) / (공정 능력) 
                    = (공정 상의 허용된 산포) / (실제 공정의 산포)
        . USL (Upper Specification Limit) : 규격상한
        . LSL (Lower Specification Limit) : 규격하한
        . σ : 공정 표준편차
     * 값이 클수록 규격 내 생산 공정 능력이 좋음


2. [품질관리]  공정 능력 지수의 종류공정 능력 지수  :  Cp = (USL - LSL) / 
     - 특징  :  공정 산포를 고려함
     - 평가  :  공정이 규격 폭에 비해 얼마나 정밀한가

  ㅇ 상한 기준 지수  :  Cpu = (USL - μ) / 3σ
     - 특징  :  상한 규격만 고려
     - 평가  :  평균이 상한 규격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 (μ: 평균)

  ㅇ 하한 기준 지수  :  Cpl = (μ - LSL) / 3σ
     - 특징  :  하한 규격만 고려
     - 평가  :  평균이 하한 규격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ㅇ 공정능력지수 (치우침 보정)  :  Cpk = min(Cpu, Cpl) 또는 (1-K)Cp
     - 특징  :  평균치우침 고려
     - 평가  :  공정이 규격 중심에 얼마나 가까운가

  ㅇ 목표 중심 지수  :  Cpm = (USL - LSL) / [6√(σ² + (μ−T)²)]
     - 특징  :  목표치와의 일치 정도를 고려
     - 평가  :  목표치(T)로부터의 편차 포함하여 평가

  ㅇ 복합 지수  :  Cpmk = (1-K)Cpm
     - 특징  :  Cpk와 Cpm 결합형
     - 평가  :  산포 + 치우침 + 목표 일치 모두 반영

  ※ [요약]
     - Cp  :  규격 폭 대비 공정 산포 평가 (정확도 중심)
     - Cpk  :  평균 치우침까지 반영 (정밀도 + 중심도 평가)
     - Cpm, Cpmk  :  목표치 일치까지 고려 (목표 중심 관리에 유용)


3. [품질관리]  일반적인 해석

  ㅇ Cp, Cpk < 1.0  :  불량 발생 가능 높음  (공정 개선 필요)
  ㅇ 1.0 ≤ Cp, Cpk < 1.33  :  규격 내 생산 가능하나 여유 적음  (관리 필요)
  ㅇ Cp, Cpk ≥ 1.33  :  안정적 공정  (일반적 기준)
  ㅇ Cp, Cpk ≥ 2.0  :  매우 우수한  수준 공정  (최고 수준 품질)


4. [품질관리]  (참고사항)치우침이 없는 경우
     - 양쪽 규격 
        . 규격 상하한 모두 있는 경우 :  Cp = (USL - LSL) / 
     - 한쪽 규격
        . 규격 상한만 있는 경우 : Cpu = (USL - μ) / 3σ
        . 규격 하한만 있는 경우 : Cpl = (μ- LSL) / 3σ

     * 값이 클수록 공정능력이 좋은 것임
        . 즉, 규격내 제품 생산능력이 좋음

  ㅇ 치우침이 있는 경우  :  (공정 평균이 규격의 중앙과 일치하는 정도를 고려함)
     -  Cpk = (1 - K) { (USL - LSL) /  } = (1 - K) Cp
        . (K는 치우침의 정도)

     - 치우침 계수 (K)
        
[# K = \frac{|μ-M|}{(USL-LSL)/2} #]
. M (규격 중심) = (USL-LSL)/2 . 공정 평균이 중앙에 있을수록, K는 0에 가까움 . 따라서, 공정이 중앙에서 벗어날수록 Cpk 값은 Cp보다 작아짐

관리도, 공정능력
1. 품질변동 (우연, 이상 원인)   2. 관리도 이란?   3. 관리도 용어   4. 관리도 종류   5. c 관리도, u 관리도   6. p 관리도   7. 공정능력   8. 공정능력지수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최근 편집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