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차량 통신 (Vehicle Communication)
ㅇ 차량 내부 또는 외부 간 다양한 전자장치,차량,인프라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체계
ㅇ 목적 : 주행 안전성 향상, 운전 편의성 증대, 자율 주행 및 커넥티드카 구현
ㅇ 구분
- 차량 내부 통신 (IVN, In Vehicle Networking)
- 차량 외부 통신
. 차량 간 통신 (V2V, Vehicle to Vehicle Networking)
. 차량과 인프라 통신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Networking)
. 차량 사물 통신 (V2X, Vehicle-to-Everything)
.. V2V,V2I를 포함한 보행자(V2P), 네트워크(V2N) 등 모든 대상과 통신
2. 자동차 배선망 (IVN, In-Vehicle Networking)
ㅇ 차량 내 다양한 전자제어장치(ECU),센서,액츄에이터,디스플레이,오디오 시스템 등이,
- 시리얼 버스 기반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
ㅇ 목표
- 차량 내부의 모든 전자장치를 단일 네트워크로 통합, 제어 효율성,안정성을 높이는 것
ㅇ 특징
- 시리얼 버스 방식의 통신 : 병렬선이 아닌 단일 회선 기반의 데이터 전송
- 공유 매체 사용 : 여러 ECU가 동일한 통신선을 공유함
- 분산 제어 구조 : 각 ECU가 분산적으로 제어 기능 수행
- 통신 기술의 차량 내 적용 : 산업용,정보통신망 기술을 차량 환경에 최적화 적용
- 보안 및 신뢰성 강화 요구 : 차량 외부(V2X) 연결 확대로 보안 취약점 증가
- 도메인,존 아키텍처 적용 : 기능별 영역(파워트레인,차체,인포테인먼트 등)을 묶는 구조로 진화
ㅇ 주요 통신 방식
- 저속 버스 : LIN, J1850 (~10 kbit/s)
. 간단한 센서/스위치 제어, 배선 단순화 목적
- 중속 버스 : CAN, CAN FD (10 kbit/s ~ 1 Mbit/s)
. 차체/엔진 제어, ECU 간 통신으로 가장 널리 사용
- 고속 버스 : FlexRay, Automotive Ethernet (10 Mbit/s ~ 1 Gbit/s)
. 실시간 제어, ADAS, 자율주행, FlexRay → Ethernet 전환 추세
- 멀티미디어 통신 : MOST, AVB/TSN (수십 Mbit/s 이상)
. 오디오,비디오 등 인포테인먼트, Ethernet AVB로 대체 중
ㅇ IVN 속도 등급 분류 (Class A/B/C)
- Class A : 저속 (~10 kbaud), 배선수 감소가 목표
- Class B : 중속 (10~250 kbaud), 센서/액츄에이터 공유가 목표
- Class C : 고속 (250 ~ 1000 kbaud),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이 목표 (주로, 이더넷 기반 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