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화기계
ㅇ 소화 (消化, Digestion) 이란?
- 음식물 내 영양소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해시키는 과정
- 주로, 탄수화물을 포도당으로,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지방을 지방산으로 분해
ㅇ 포유류 소화계는,
- 소화관 및 다양한 부속샘으로 구성됨
ㅇ 소화기 역할 : 영양분의 흡수 및 찌꺼기의 배출
ㅇ 소화기의 동작 : 자율신경 중 부교감신경
- 저작 운동 (음식물을 잘게 씹음)
- 분절 운동 (음식물과 소화액을 섞음)
- 연동 운동 (음식물의 수송)
ㅇ 소화액 : 타액, 위액, 담즙, 췌액, 장액
ㅇ 부속분비기관 : 침샘(salivary gland), 췌장(이자,pancreas), 간(liver), 담낭(쓸개,gallbladder)
2. 소화기계 구분
ㅇ 소화관 : 구강, 식도, 위, 장
- 음식물이 통과하는 관문으로써,
. 모두 합하면 9 (8~10) m 정도
. 관 안쪽부터, 점막,근육층,창자막 등 3층 구조
- 구강(입안) : 긴 소화관이 시작되는 곳
- 식도 : 관 근육을 수축시켜, 음식물을 위로 보냄 (6초 정도 걸림)
. 지름 2~3 ㎝, 길이 25 ㎝ 정도
- 소장 : 십이지장,공장,회장
.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소를 흡수함
- 대장 : 맹장,결장,직장
ㅇ 소화액 분비 : 침샘, 간, 담낭, 췌장 등
ㅇ 소화 과정 구분 : 기계적인 과정 (치아,혀 등), 화학적인 과정
3. 소장 (small intestine, 小腸)
ㅇ 위와 대장 사이에 있는,
- 길이 6∼7m, 내벽 표면적 3,300㎠ 정도, 융털(1 ㎜ 내외의 작은 돌기) 구조의, 소화관
ㅇ 음식물의 `소화` 및 `영양 흡수`
- 다당류가 가수분해되어 에너지원인 단당류가 생성됨
- 영양소는 소장 점막에 있는 모세혈관의 혈액 속으로 흡수됨
- 위험물을 1차로 걸러내고, 이들을 간으로 보내짐
ㅇ 구분 : 십이지장, 공장, 회장
ㅇ 십이지장, 샘창자 (duodenum, 十二指腸)
- 소장의 일부이며, 지름 4~6㎝, 길이 25㎝ 정도의, 말굽(`ㄷ`자) 모양의 관
- 십이지장 내에는, 이자액(췌장액)이라는 소화액을 만드는 췌장이 붙어있음
4. 췌장 (이자, pancreas)
ㅇ 위의 뒤쪽에 위치, 십이지장과 비장 사이에 수평으로 놓여짐 ☞ 네이버 지식백과 (이자)
- 길이 12~20cm, 질량 약 80g 정도, 분홍빛을 띰, 나뭇잎 모양
ㅇ 내분비 기관 중 하나 : 소화액인 췌액과 호르몬인 인슐린을 분비
ㅇ 2개 분비샘을 갖음 : 외분비샘(췌액을 분비), 내분비샘(인슐린,글루카곤 등 호르몬)
ㅇ 췌액
- 췌액은 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에서 분비됨
- 췌액 내 소화 효소 : 트립신,키모드립신 (단백질 분해), 아밀라아제 (당질 분해),
리파아제 (지방 분해)
5. 간 (liver)
ㅇ 인체의 화학 공장 역할 : 물질의 분해와 합성 (대사)
- 장에서 흡수한 영양소를, 체내에 필요한 모양으로 바꾸어줌
. (탄수화물) 혈액 내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합성 저장, 유사시 이를 포도당으로 분해 방출
. (지질) 콜레스트롤 합성
. (단백질) 분해 및 합성
.. 단백질 내 질소(암모니아)를 무해한 요소(urea)로 변환시켜, 신장을 거쳐 배출
- 유해 물질의 해독 작용
ㅇ 담즙 생성
ㅇ 간을 출입하는 관 : 4종
- 간관 : 담즙 운반
- 고유간동맥 : 산소,영양소 공급
- 간정맥 : 불필요 물질을 빼냄
- 문맥 : 위와 장에서 나온 영양소,유해물질 운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