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 (stomach, 胃)
ㅇ 특징
- 역할 : 음식물의 소화, 위산(염산)에 의한 살균
- 분비 : 펩신, 위산(염산)
- 크기 : 통상, 1 L 정도, 가득차면 2 ~ 4 L 정도
ㅇ 해부학,조직학적 부위 구분 : 크게, 4개 부위로 구분
- 분문부 (cardia, 들문) : 위의 입구
- 위저부 (fundus, 기저부) : 위쪽으로 부푼 부분
- 체부 (body,corpus, 전정부, 날문방) : 위의 몸통
- 유문부 (pylorus, 날문부분) : 위의 출구
ㅇ 위의 운동 : 연동운동, 교반운동
2. 위벽 (stomach wall, 胃壁)
ㅇ 위 점막 (gastric mucosa, 胃粘膜) : 3개 층으로 구분
- 입안 점막이 계속 이어진 점막층
- 풍선 처럼 팽창 가능토록 주름 있음
ㅇ 내층 (점막층) : 주름이 많이 있음
- 주름 사이에 위소와(gastric pits,胃小窩)라는 작은 홈이 있음
. 위소와 바닥에 위액 분비샘(위샘,gastric gland)이 있음
- 위샘은 3가지 세포로 구성됨
. 가장 안쪽부터 주세포(chief cell), 방세포(parietal cell), 부세포(goblet cell) 임
ㅇ 중층 : 3겹의 근육층
- 바깥부터, 종주근, 윤주근, 사주근이라는 근육층이 있음
- 윤주근,종주근의 수축에 의한 연동운동으로 음식물의 수송/이동을 함
ㅇ 외층 : 복막층이기도 함
- 한편, 복막은 복강 내벽이 되는 벽측복막과, 위,장을 둘러싸는 장측복막 있음
- 복강 (abdominal cavity,腹腔) : 복막으로 둘러쌓인 공간
- 소화관의 대부분과 간,지라,이자,신장,난소 등이 복강에 위치함
3. 위액 (gastric juice)
ㅇ 위액의 성분 : 액체 형태 (점액, 효소, 가스트린, 염산)
- 점액 (mucus) : 소화 보다는 위 자체를 보호 (풍부한 중탄산염)
- 펩시노겐 (pepsinogen) : 단백질 분해 효소, 산성에서 더 활발히 활동
. 펩신(pepsin)의 전구 물질인 펩시노겐이,
. 위 점막 중 주세포에서 합성되어, 염산과 함께 분비되고,
. 염산에 의해 단백질 분해 효소인 펩신으로 바뀌어 단백질을 분해 함
- 가스트린 : 산 분비를 조절하는 단백질
- 염산 (위산) : 위 내부를 산성화해서 펩신 활동을 활발히 함. 또한, 살균 작용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