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as   바이어스, 치우침

(2025-09-25)

바이어싱, 편의 , 편향 , 편의성(偏倚性), 순방향 바이어스, 역방향 바이어스


1. 바이어스 (Bias) 이란?

  ㅇ [일반]
     - 어떤 현상,판단,결과 등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거나 편향되는 성향
        . `편향(偏向)`,`선입견`,`기울어짐` 등의 의미로 넓게 쓰임

  ㅇ [통계이론]  치우침, 편향 (Bias in Statistics)
     - `추정량기대값`이 `실제 모수 값`과 차이가 남 
        . 불편성 여부를 판별하는 핵심 기준                     ☞ 불편의성 (Unbiasedness) 참조
        . 例) 평균 추정시, 표본평균모평균불편 추정량이지만, 일부 통계량은 편향(bias)을 가짐

  ㅇ [기계학습,딥러닝]  모델 바이어스 (Bias)            ☞ 모델 파라미터 (Model Parameter) 참조
     - 인공 신경망에서, 각 뉴런의 활성화 기준을 조정하는 상수항
        . 모델이 단순히 원점을 지나는 직선학습하는 데 그치지 않고, 
        . 더 다양한 함수 형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함
        . 例) 선형회귀의 절편(intercept), 퍼셉트론의 바이어스 항 등 

  ㅇ [전자회로]  바이어스 (dc Bias : 직류 공급)
     - 전자회로동작점 주위에서 만 동작되도록, dc 전원을 적절히 공급하는 것
        . 전자회로의 동작 기준점/동작 레벨을 정해,
        . 증폭 등에서 왜곡 없이 동작하게 만드는 핵심 과정 
        . 例) 트랜지스터 증폭 회로에서의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


2. [전자회로]  바이어스 목적  :  직류 동작점(Q점)의 설정

  ㅇ 먼저, 트랜지스터증폭기스위치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 DC 회로 조건을 올바르게 설정되어야 함
        . 이를위한, 다양한 바이어스 방법이 가능 ☞ 아래 3.항 참조

  ㅇ 주로, 증폭기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 비선형 소자(트랜지스터 등)의 비 선형적 동작 중 선형 구간에 위치시켜야 함
        . 출력 신호 변동을 교류 입력 신호의 응답 범위 내로 동작시켜, 선형 증폭을 하는 등
     * [참고] 활성영역(Active Region) ☞ BJT 활성영역, MOSFET 활성영역 참조

  ㅇ 결국, 바이어스는, 전자회로직류적 동작을 보장하기 위함임
     - 만일, 온도 변화나 트랜지스터 특성(파라미터) 변화 등이 있더라도, 
     - 안정된 직류 전압 공급으로 직류 동작점Q 점(Quiescent Point)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


3. [전자회로]  바이어싱 방법다이오드 바이어싱
     * 다이오드가, 한 방향으로 만 전류가 흐르도록 함

     - 순방향 바이어스 (Forward Bias)
        . 다이오드 양단에 직류 전압을 인가시켜, pn 접합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하는 것
     - 역방향 바이어스 (Reverse Bias)
        . 다이오드 양단의 pn 접합을 통해 전류가 못흐르도록, 직류 전압을 반대 방향으로 인가 함

  ㅇ BJT 증폭회로 바이어싱
     * BJT가, 순방향 활성영역에서 만 동작하도록, 동작점(Q점)을 설정하는 것

     - 설계 상의 고려점
        . 컬렉터에 일정 직류 전류를 공급 (계산 및 예측이 충분히 가능해야 함)
        . 온도 변화나 직류 베타 또는 교류 베타(β) 변화에 민감하지 않도록 함
        . 최대 출력 스윙 보장

     - 주요 바이어싱 방법                          ☞ 바이어스 회로(BJT) 참조
        . 전압분배 바이어스 회로 방법
        . 2개 전원공급기 사용 방법
        . 컬렉터 베이스 귀환 저항기 사용 방법      ☞ 자기 바이어스 참조  

  ㅇ MOSFET 증폭회로 바이어싱
     * MOSFET가, 활성영역에서 동작하도록, 동작점(Q점)을 설정하는 것

     - 설계 상의 고려점
        . 드레인에 일정 직류 전류를 공급 해야 함
           .. 이때, 계산 및 예측이 충분히 가능해야 함
        . 활성영역(포화영역) 내 동작 보장

     - 주요 바이어싱 방법
        . VGS를 고정하는 방법
        . VGS를 고정하고 소스에 저항을 연결하는 방법
        . 드레인 게이트 귀환 저항기를 사용하는 방법 등

  ㅇ 집적회로 바이어싱
     - 설계 상의 고려점
        .  내 많은 증폭 요소에 공급하기 위하여,
        . 일정한 기준 전류를 한 장소에서 발생시키고, 
        . 이를 다양한 위치에 복제하는 전류 조정(Current Steering) 방법을 사용함

     - 주요 바이어싱 방법
        . 정전류원(전류미러) 사용 


4. [전자회로]  역방향 바이어스 (Reverse Bias)비선형 특성을 갖는 전자회로 소자(다이오드,트랜지스터 등)의 특정 단자들 간에,
     - 전류가 흐르지 않게, 차단(cut off, 개방회로 처럼) 영역에 머무르도록, 바이어스를 주는 것
        . 통상, pn 접합에서 역방향 전압을 주는 것

  ※ [참고] ☞ 역방향 누설전류 참조
     - 역방향 바이어스 하에, 소수캐리어에 의해 흐르는 약간의 누설전류

바이어싱
1. 바이어스   2. Q 점,직류 동작점   3. 부하선   4. 바이어스 회로   5. 베이스 바이어스   6. 자기 바이어스   7. 전압분배 바이어스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