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PLS - TP (MPLS Transport Profile)
ㅇ 기존의 MPLS 기술을, 특정 전송망의 요구 사항에 맞게, 선택 조정(프로파일)한 것
- 주로, 높은 신뢰성, 안정성, 그리고 확장성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설계됨
- 특히, 통신 사업자와 서비스 제공 및 사용자가 전송 네트워크로써 MPLS를 사용할 때 유용
2. MPLS - TP 표준화 및 출현 배경
ㅇ (표준화 및 목적)
- ITU-T SG15, IETF 간 연합 작업 그룹(MPLS - TP JWT : Joint Working Team)에서 표준화 시작
. 기존의 MPLS 아키텍처와 포워딩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는 프로파일을 취한채,
. OAM 및 보호의 기능적 개선을 추가함으로써,
.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송망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
ㅇ (출현 배경)
- 기존에 주된 전송망으로 SDH/SONET이,
. 다양한 패킷 서비스 요구에 대해서는, 비 경제적, 비 효율적이나,
. 관리나 안정성 (높은 가용성) 측면에서는, OAM, 빠른 복구 능력, QoS 제공 등에 유리하여,
. 그 장점을, 패킷 기반 네트워크에서도 실현코자, 적극 도입 함
3. MPLS - TP 특징
ㅇ 전통적인 MPLS의 변형 형태 임
- 라벨 기반 스위칭 유지
. 패킷 포워딩을 위해, 기존의 MPLS 포멧 및 MPLS 라벨을 그대로 사용
- 연결지향성 (Connection-oriented) : 고정된 경로
- T - MPLS (Transport MPLS)의 연장선 임 : 기존 T-MPLS(Transport MPLS)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
- 제어 평면을 사용하지 않는 스태틱 방식 및 관리 기반 경로 설정 지원
ㅇ 향상된 보호 및 복구 메커니즘
- 다양한 복구 시나리오를 지원하여 장애 시 빠른 자동 복구 가능
. 1+1 보호, 1:1 보호, 링 보호 (MSP-Ring Protection), 경로 보호 (Path Protection),
빠른 재 라우팅, 이중화, 루프 방지, 상태 보존 (Stateful Protection) 등
- 50ms 이내의 빠른 복구 시간 보장
ㅇ 향상된 OAM 기능
- OAM 지원을 위해, G-ACh을 정의함
. 전용 OAM 채널(G-ACh: Generalized Associated Channel) 이란?
.. MPLS-TP 프레임 내 데이터와는 독립적으로 OAM 메시지의 전달을 위한 전용 논리 채널
.. GAL(Generic Associated Channel Label) 이라는 특정 MPLS 라벨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과 구분된 OAM 패킷임을 명확히 표시함
- 기존 SDH/SONET과 유사한 수준의 관리 기능을, 패킷 기반 전송망에서도 실현 가능토록 함
. 연결 상태 검증 모니터링 (Connectivity Verification, CV)
. 연결 장애 감지 및 알림 (Fault Detection and Notification)
. 성능 감시 (Performance Monitoring) : 지연, 손실율 측정 등
. 루프백 테스트 (Loop Back Test) : 경로 확인용
* 기존의 MPLS는, OAM 기능이 약했으나, MPLS - TP는 이 기능을 구조적으로 강화
ㅇ 제어 평면 지원 (Optional)
- 제어 평면(GMPLS 등)을 사용하거나,
- 관리 시스템(NMS/EMS)를 통해 경로를 수동 설정 가능
* 제어 평면은 선택사항이며, 제어 기능 없이도 동작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