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광통신 이란?
  ㅇ 기존의 전기적인 신호 전송이 아닌, 빛을 광섬유에 의해 유도시켜 통신하는 방식
  ㅇ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의 최종적이고 유일한 해결방법으로 간주되고 있음
2. 일반적인 광 링크 구성
    ㅇ 광송신기   :  광원(LED,LD),광변조기
  ㅇ 광전송매체 :  광 섬유(광 케이블)
  ㅇ 광다중화기 :  WDM 등
  ㅇ 광증폭기   :  광섬유증폭기 등
  ㅇ 광수신기   :  광검출 수광소자(APD,PIN)
3. 광통신의 특징
  ㅇ 저 손실성
     - 전송 감쇄율이 현재 0.2 dB/km 이하, 따라서 100~200 km 무중계 전송도 가능
     - 매우 낮은 전송 에너지 만 필요
  ㅇ 광대역성
     - 허용 주파수대역은 25 THz 이상 가능
     - 주파수에 대한 단위 사용에서,  Hz 보다는 파장 단위로 nm,㎛를 주로 사용
  ㅇ 소형화
     - 세경, 경량성, 대용량 다중 전송로 구성이 용이
  ㅇ 비 전도성
     - 누화 및 유도에 강함
  ㅇ 재료 자원의 풍부
     - 광섬유 주원료인 실리카는 지구상에 무한히 존재하는 모래에서 쉽게 얻을 수 있음
4. 광통신의 파장대
  ㅇ 광통신에 사용되는 파장대 (0.8 ~ 1.6 ㎛ : 주로, 근 적외선 영역 주변)   ☞ 광통신 파장대역
     - 광원 : 최대 출력 파장대
     - 광섬유 : 저 손실 파장대
     - 광검출기 : 감도가 높은 파장대
5. 광통신의 원리
  ㅇ 광통신 도파 원리  ☞  전반사
     - [참고] ☞ 수광각, 임계각 참조
  ㅇ 입사각,경계조건 등에 따라 광파의 전달을 제한시킴  ☞ 광통신 전파모드 
     - 다중모드 광섬유, 단일모드 광섬유
6. 광통신의 성능제한요소
  ㅇ 손실   ☞  광손실
  ㅇ 분산   ☞  분산
  ㅇ 기타   ☞  비선형 광학 효과
7. 광통신용 소자/부품/커넥터 
 
  ㅇ 광 능동소자
  ㅇ 광 수동소자
  ㅇ 광 트랜시버
  ㅇ 광 커넥터, 광 점퍼코드 등
  ㅇ 광송신기   :  광원(LED,LD),광변조기
  ㅇ 광전송매체 :  광 섬유(광 케이블)
  ㅇ 광다중화기 :  WDM 등
  ㅇ 광증폭기   :  광섬유증폭기 등
  ㅇ 광수신기   :  광검출 수광소자(APD,PIN)
3. 광통신의 특징
  ㅇ 저 손실성
     - 전송 감쇄율이 현재 0.2 dB/km 이하, 따라서 100~200 km 무중계 전송도 가능
     - 매우 낮은 전송 에너지 만 필요
  ㅇ 광대역성
     - 허용 주파수대역은 25 THz 이상 가능
     - 주파수에 대한 단위 사용에서,  Hz 보다는 파장 단위로 nm,㎛를 주로 사용
  ㅇ 소형화
     - 세경, 경량성, 대용량 다중 전송로 구성이 용이
  ㅇ 비 전도성
     - 누화 및 유도에 강함
  ㅇ 재료 자원의 풍부
     - 광섬유 주원료인 실리카는 지구상에 무한히 존재하는 모래에서 쉽게 얻을 수 있음
4. 광통신의 파장대
  ㅇ 광통신에 사용되는 파장대 (0.8 ~ 1.6 ㎛ : 주로, 근 적외선 영역 주변)   ☞ 광통신 파장대역
     - 광원 : 최대 출력 파장대
     - 광섬유 : 저 손실 파장대
     - 광검출기 : 감도가 높은 파장대
5. 광통신의 원리
  ㅇ 광통신 도파 원리  ☞  전반사
     - [참고] ☞ 수광각, 임계각 참조
  ㅇ 입사각,경계조건 등에 따라 광파의 전달을 제한시킴  ☞ 광통신 전파모드 
     - 다중모드 광섬유, 단일모드 광섬유
6. 광통신의 성능제한요소
  ㅇ 손실   ☞  광손실
  ㅇ 분산   ☞  분산
  ㅇ 기타   ☞  비선형 광학 효과
7. 광통신용 소자/부품/커넥터 
 
  ㅇ 광 능동소자
  ㅇ 광 수동소자
  ㅇ 광 트랜시버
  ㅇ 광 커넥터, 광 점퍼코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