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펩타이드 (peptide) 이란?
  ㅇ 아미노산들이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화합물
  ㅇ 펩타이드는 단백질 보다 작은 분자로써, 그 자체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질 수 있음
     - 통상, 50개 이하 아미노산 사슬을 갖으면, `펩타이드`
     - 그 이상의 긴 사슬을 갖을 경우에, `단백질`이라고 함
2. 펩타이드 결합
  ㅇ 펩타이드 결합, 펩티드 결합 (peptide bond)
     - 한 아미노산 분자의 카르복실기(-COOH)와 
       또 다른 아미노산 분자의 아미노기(-NH2) 사이에서,
     - 탈수 축합 하면,                                           ☞ 탈수 반응, 축합 반응 참조
        . 즉, H2O를 제거(탈수)하면,
     - 아마이드(amide)가 생기며,
        . (아마이드 : 암모니아 또는 아민의 수소 원자가 산기(아실기)나 금속원자로 치환된 화합물)
     - 이때의 아마이드를, `펩타이드(peptide)`라고 함 
        ㅇ 통상, 
     - 아미노산 수가 적으면, 펩타이드
        . 10개 정도이면, 올리고 펩타이드
        . 그 이상이면, 폴리 펩타이드
     - 아미노산 수가 많으면, 단백질 이라고 부름
3. 폴리펩타이드 결합
  ㅇ 폴리펩타이드 결합
     - 펩타이드에 다른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하면서,
     - 축합 반응이 계속 일어나고, 
     - 이들이 사슬 처럼 길게 늘어나면서,
     - 아미노산의 고분자(중합체)인 폴리펩타이드가 되고,
     -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복잡한 3차원적 구조로 접히고, 기능을 가지게 되면서,
     - 특이적인 단백질이 형성됨
  ㅇ 특징
     - 폴리펩타이드 사슬의, 한 쪽 끝에는 자유 아미노기 (아미노 말단, N-말단), 
       반대쪽 끝에는 자유 카르복실기 (카르복실 말단, C-말단)
     - 곁사슬의 종류 및 서열에 따라, 엄청난 다양함 가능
  ㅇ 통상, 
     - 아미노산 수가 적으면, 펩타이드
        . 10개 정도이면, 올리고 펩타이드
        . 그 이상이면, 폴리 펩타이드
     - 아미노산 수가 많으면, 단백질 이라고 부름
3. 폴리펩타이드 결합
  ㅇ 폴리펩타이드 결합
     - 펩타이드에 다른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하면서,
     - 축합 반응이 계속 일어나고, 
     - 이들이 사슬 처럼 길게 늘어나면서,
     - 아미노산의 고분자(중합체)인 폴리펩타이드가 되고,
     -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복잡한 3차원적 구조로 접히고, 기능을 가지게 되면서,
     - 특이적인 단백질이 형성됨
  ㅇ 특징
     - 폴리펩타이드 사슬의, 한 쪽 끝에는 자유 아미노기 (아미노 말단, N-말단), 
       반대쪽 끝에는 자유 카르복실기 (카르복실 말단, C-말단)
     - 곁사슬의 종류 및 서열에 따라, 엄청난 다양함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