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dney   콩팥

(2025-01-18)

신장


1. 콩팥, 신장(腎臟) (kidney)혈액을 여과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며, 체내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장기


2. 콩팥의 역할혈액의 여과 장치 (불필요 물질 배출 및 몸 속 수분량 조절)

  ㅇ 노폐물 걸러냄 및 소변 생성
     - 혈액에서 노폐물과 과잉 전해질을 걸러내어 소변 생성
     - 생성된 소변은 요관 → 방광요도를 통해 배출됨

  ㅇ 체내 항상성 유지
     - 수분량 조절 : 탈수나 수분 과잉에 따라 물의 배출 조절
     - 전해질(이온) 균형 : 나트륨(Na⁺), 칼륨(K⁺), 칼슘(Ca²⁺) 등 이온 농도 유지
     - pH 조절 : 혈액의 산성 - 염기성 균형 조절 (산염기 균형)

  ㅇ 호르몬 생산 기여
     - 에리트로포이에틴 (Erythropoietin) : 적혈구 생성 촉진
     - 레닌 (Renin) : 혈압 조절 관여
     - 활성형 비타민 D (칼시트리올) 생성 : 칼슘 대사 조절


3. 콩팥의 구조 및 위치

  ㅇ 갯수 : 두 개 (좌우 한쌍)
  ㅇ 형태 : 강낭콩 모양
  ㅇ 크기 : 주먹 만 함
  ㅇ 위치 : 허리 위 (팔꿈치) 등쪽 척추를 사이에 두고, 양쪽 체벽에 있음
     - 오른쪽 신장 위에 간이 있으므로, 오른쪽이 왼쪽 신장보다 그 위치가 1~2 cm 낮음
     - 호흡에 따라 상하로 2~3cm 움직일 수 있음 


4. 소변 생성의 기본 단위 (콩팥 단위)  :  네프론 (nephron)

  ㅇ 구성
     - 콩팥소체, 신소체 (Malpighian body) : 여과 기능
        . 사구체 (glomerulus) : 모세혈관 뭉치
        . 보먼주머니 (Bowman's capsule) : 여과된 원뇨 수용
     - 콩팥세관, 세뇨관 (renal tubule) : 재흡수 및 분비 수행

  ㅇ 수량
     - 신장 하나 당 100만~150만 개 존재


5. 혈류 관련 구조

  ㅇ 신동맥 (renal artery) : 신장으로 혈액 유입
  ㅇ 신정맥 (renal vein) : 여과된 혈액을 다시 몸으로 돌려보냄
     - 한편, 여과 생성된 소변을 내보내기 위한 요관이,
     - 좌우 신장에서 뻗어나와 주머니 모양의 방광과 요관구로 이어져,
     - 방광에 소변을 모아둠

  ㅇ 사구체 형성
     - 신동맥이 신장 내에서 세분화되어 모세혈관이 실타래처럼 뭉쳐 공 모양의 사구체를 형성함


6. 소변 형성 과정혈액을 통해 불필요 물질이 콩팥으로 운반되면, 콩팥에서 소변을 만들어내고, 이를 배출

  ㅇ 단계별 요약
     - 여과 (Filtration) : 사구체에서 혈액 여과 (토리)
     - 재흡수 (Reabsorption) : 필요한 물질과 물 재흡수
     - 분비 (Secretion) : 추가적인 노폐물 분비 (세뇨관)
     - 배설 (Excretion) : 소변으로 최종 배출

  ㅇ 양적 정보
     - 원뇨 생성량 : 하루 약 150 L
     - 재흡수율 : 약 99%
     - 최종 소변 배출량 : 하루 1~1.5 L

비뇨기계
1. 비뇨기계   2. 신장  
복부
1. 복부   2.   3.   4. 신장   5. 췌장   6. 비장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차재복)          편집 이력          편집 격려 (소액 후원)
[비뇨기계]1. 비뇨기계   2. 신장  

[복부]1. 복부   2.   3.   4. 신장   5. 췌장   6. 비장  

  1. Top (분류 펼침)      :     1,607개 분류    6,634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