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DH 계층 구조 ☞ SDH/SONET, 계층구조(Layering) 참조
ㅇ 회선 계층 (Circuit Layer)
ㅇ 경로 계층 (Path Layer) : 양단 단국 장비들 간(종단 간)에서, 경로 상의 전송을 다룸
- 종단 간 사용자 트래픽의 전달 관리
. 고위 경로계층 (High-order Path Layer)
. 저위 경로계층 (Low-order Path Layer)
- (SONET은, `경로 계층`이라고 함) (필요시, 경로 절체 수행, 例: UPSR)
ㅇ 구간 계층 (Section Layer) : 다중화기, 다중화기와 재생기, 재생기 간의 연결
- 다중화기 구간 계층 (Multiplexer Section Layer)
. 다중화기 구간 간 동기 유지, 에러 감시, 보호 절체 등
. (SONET은, `라인 계층`이라고 함) (필요시, 라인 절체 수행, 例: BLSR)
- 재생기 구간 계층 (Regenerator Section Layer)
. 인접 장비 간(광선로 단위) 신호 전송과 재생 관리 등
. (SONET은, `구간 계층`이라고 함)
ㅇ 물리매체 계층 (Physical Media Layer, Photonic Layer)
2. SDH,SONET 계층 비교
3. 유지보수 계층화 특징
ㅇ 크게 두 계층으로 구분하고,
- 수송 전달망으로서 동기식전송망은, 크게 경로(Path)와 구간(Section)으로 계층 구분 함
ㅇ 유지보수를 각 계층별로 수행 함
ㅇ 각 유지보수 신호는 서로에게 투명함
- 구간(Section)에서는 경로(Path)에 필요한 오버헤드 영역을 투명하게 통과시키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