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스케줄링, 채널 자원 할당, 무선 자원 할당

(2023-11-29)

스케줄링


1. 무선 자원 할당주파수 채널 할당 (Frequency Channel Allocation)
     - 주어진 주파수대역을 겹치지 않게 채널별로 나누는 것
        . 주로, 간섭 제거 및 동시 통화 능력 향상 등을 위함

  ㅇ 무선 자원 스케쥴링 (Radio Resource Scheduling)
     - 한정된 무선 자원이동통신 셀 내 여러 사용자에게 시간/주파수/공간에 따라 최적 할당
        . 例) LTE OFDM 방식에서는,
           .. 주파수시간 2차원 입방 격자 형태로 구분된 자원블록을 세밀하게 나누어,
           .. 사용자들 간에 공유되는 공유 자원(자원블록)들을 시간,주파수 각각 할당 제어 가능
           .. 즉, 이를 셀 내 각 사용자에게 최적으로 할당(스케줄링)하게 됨
           .. 또한, 공간적으로도 안테나 빔 포밍에 의해서 스케줄링 가능
           .. 또한, 전송 파라미터, 데이터 전송 속도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스케줄링 가능


2. 무선 이동통신 망에서 주로 사용되는 스케쥴링 기법(알고리즘) 例

  ㅇ max C/I 방식
     - 셀 내 가장좋은 채널 상태를 갖는 사용자에게 자원을 몰아주는 할당 방식
       . 시스템 용량 차원에서는, 셀룰러 용량을 최대화하기에 가장 좋은 방식이나, 
       . 공평성 관점에서는, 불량 채널 사용자는 소외됨

  ㅇ 라운드 로빈 방식
     - 각 사용자들에게 순차적으로 서비스
        . 형평성 측면에서 가장 좋으나, 
        . 시스템 전체 효율성 면에서는 불리

  ※ 위 두 방식의 장점이 절충된 방식이 상용 시스템에서는 필요함

  ㅇ 비례적 공정(Proportionally Fairness: PF) 방식
     - Qualcomm 社에서 CDMA 시스템스케쥴링 방식으로 제안한 알고리즘 명칭
     - 사용자의 채널 상태를 반영하여, 시스템의 수율(Throughput)과 사용자간의 공정성
       (Fairness)을 동시에 고려, 이들간에 득실 관계를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음

  ㅇ M-LWDF(Modified Largest Weighted Delay First) 등

  ※ 어떤 스케쥴링 방식(스케쥴러)을 쓰느냐는 제조사 구현에 의존
     - 대부분의 표준에는 이를 명시하지 않고, 다만 제어 시그널링 인터페이스 만 규정
        . 즉, 채널 상태 측정,채널 상태 보고,동적 자원 할당을 위한 시그널링 메세지 만을
              표준 규격에 포함됨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