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빔 포밍/형성 (Beamforming)
ㅇ 다수 안테나 (또는, 어레이 안테나)에 의해,
- 원하는 때 원하는 특정 방향 만으로 방사/수신하는,
- 원하는 지향성을 갖도록,
- 전파 빔을 만들어내는 기술
* (특정 방향으로 RF 에너지의 집속화)
2. 빔 포밍의 특징
ㅇ 다중 안테나의 주요 특징 중 하나
ㅇ 공간 필터링 (Spatial Filtering)
- 공간적인 필터링 기능을 함
. (즉,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 만 지향성을 높이는 등)
ㅇ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 공간적으로 멀티플렉싱을 가능케 함
. (즉, 공간 채널 상에 여러 신호를 함께 결합시켜 보냄으로써 전송용량 증대)
3. 빔포밍의 구분
ㅇ 고정,동적이냐에 따라,
- 고정형 빔 포밍 : 섹터 안테나 등
- 적응형 빔 포밍 : 스마트 안테나, MIMO 등
. Dynamic Beamforming
. Transmit Beamforming (TxBF)
ㅇ 구현 방식에 따라,
- 단일 안테나에 의한 구현
. 반사기, 개구 면적, 배플(Baffle,흐름 방향을 바꾸는 판) 등에 의해 지향성을 높힘
- 배열 안테나에 의한 구현
. 2 이상의 안테나 소자들을 동시에 사용 조정하여 지향성을 높힘
4. 동적인 빔포밍
ㅇ 이의 구현을 위해, 시시각각 변하는, 채널 정보를 알 필요 있음
※ ☞ 채널 상태 정보 (CSI, Channel Status Information) 참조
- 망(기지국)쪽에서 하는 채널추정, 스케줄링 등을 도와주기 위해,
- 이동단말쪽에서의 지원 기능 => 무선 채널 상태에 대한 상향 피드백 보고 기능
- 즉, 하향 링크의 상태에 대해, 단말측에서의 품질 측정 및 보고 기능 임
5. 빔포밍의 이득 (Beamforming Gain)
ㅇ 어레이 이득 (Array Gain)
-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여러 송신기 중 가장 이득이 높은 채널 송신기로 송신하는 등
. 채널 정보를 알고서 공간 신호처리를 통해,
. 다중 채널로 전송되는 신호 중 원하는 수신 신호의 SNR를 최대화 가능
- 전송 채널 상태 정보(CSI)의 송신기 쪽으로 귀환되는지 여부에 따라,
. 개루프 방식,폐루프 방식으로 구분
ㅇ 간섭 제거 이득 (Interference Reduction)
- 여러 다중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 중 유난히 큰 간섭을 받는 경로 신호에 감쇠
를 줌으로써 얻게되는 이득
6. [무선 LAN] Transmit Beamforming (TxBF)
ㅇ 802.11n 에서 처음 도입
ㅇ 같은 채널에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함께 송신 가능
- 단, 송신기는 MIMO 채널 정보를 알아야 함
ㅇ 수신 능력을 개선키 위해, 채널 상태 정보에 입각하여, 송신 신호 진폭에 가중치 계수를 줌
ㅇ (... 편집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