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화학 용어, 기기분석 용어

(2025-07-18)

검정 곡선, 검량선, Analyte, 피 분석물, 분석 대상 물질, 표준 물질, 비커 , Meniscus, 메니스커스, Matrix , 매트릭스 , 바탕질, 기질 (基質), 시료, 플라스크, 끓임쪽, 막자사발


1. 분석 화학 용어 (기기 분석 용어)  :  (일반)

  ㅇ 분석법 구분
     - 정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 시료 내 특정 성분의 양(농도)을 수치로 결정
     - 정성 분석 (Qualitative Analysis) : 시료에 어떤 성분(원소,화합물)이 존재하는지 규명

  ㅇ 검정 곡선 (Calibration Curve : 또는, 검량선, 작업 곡선, 분석 곡선)
     - 미지 시료를 기준 물질과 비교하여 알아낼 수 있는 직선
        . 미지 시료가 있을때, 기준 물질의 검정 곡선을 바탕으로, 미지의 시료 농도 등을 알 수 있음
        . 측정 데이터들이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직선이어야 비교가 용이함
     - 수학적으로,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검정 곡선을 얻어냄
        . (☞ 최소제곱법 : `잔차의 제곱의 합을 최소화`시켜, 실제에 가깝도록, 추정/근사하는 기법)

  ㅇ 선형 범위 (Linear Range)
     - 검정 곡선직선성을 유지하는 농도 범위

  ㅇ 검출한계 (Detection Limit, LOD)
     - 검출이 가능한 최소 농도 또는 최소량

  ㅇ 백분 회수율 (Percent Recovery)
     - 표준 물질 첨가 후 분석값이 실제 첨가량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로 표현

  ㅇ 메니스커스 (Meniscus)
     - 유리 실린더 (모세관) 내 액체 표면이 만드는 곡선(곡면)
        . 이는, 액체 분자 간 응집력(표면장력)과 액체와 관벽 간 부착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
        . 통상, 그 밑 부분을 읽게됨 (측정 눈금으로 읽는 선)
     * 통상, 액체렌즈 표면곡면을 이루는 형태로써, 
        . 액체의 접착력,응집력 또는 굴절면의 곡률 차이로 인해 생기는 곡선형 경계면을 지칭함


2. 분석 화학 용어 (기기 분석 용어)  :  (물질)

  ㅇ 피 분석물, 시료, 분석 물질, 분석 대상 물질 (Analyte, Substrate, Sample)
     - 분석의 대상이 되는 물질

  ㅇ 바탕 용액 (Blank Solution)
     - 분석 대상물을 제외한 용매,매트릭스,시약 등을 총칭하는 용액

  ㅇ 표준 용액 (Standard Solution)
     - 정확히 알려진 농도를 갖는 용액 (적정 등에 사용)

  ㅇ 표준 물질, 표준물 (Standard Substance)
     - 화학종으로서의 표준이 될 수 있는 물질
        . 대부분 순물질을 말함.
     - 내부 표준물 (Internal Standard)
        . 분석물과 다른 종의 화합물로써, 미지 시료 자체에 가하는 이미 알려진 량의 화합물
           .. 즉, 분석물과 다른 화학종의 아는 양의 표준물
     - 외부 표준물 (External Standard)
        . 시료와 별도로 준비된 표준물로써, 알려진 농도의 분석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 표준 시약 : 화학종의 농도를 정확하게 맞춘 시약 물질
        . 고 순도로 정량적 조작의 기준이 됨

  ㅇ 시약 (Reagent)
     - 화학반응이나 분석에 사용하는 물질 (순도에 따라 GR, AR 등으로 구분)

  ㅇ 매트릭스 (Matrix : 바탕질, 기질(基質), 기지 등)
     - 화학에서, 미지 시료 성분 중 함유된 분석 대상물을 제외한, 기타 모든 화학종 
        . 메트릭스 효과, 매질 효과 (Matrix Effect) 
           .. 시료 중 분석 대상물이 아닌 다른 화학종에 의해, 분석 신호가 변화(왜곡)되는 효과
     - 생명과학에서, 세포,조직 등의 구조적 지지와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
        . 例) 세포외기질 등

  ㅇ 기질 (Substrate, 基質)
     * (분야 마다 약간씩 다른 의미를 갖음)
     - 화학 반응에서, 촉매(효소)가 작용하는 반응물
        . 한편, 기질에 딱 들어맞는 효소의 부분을, 활성부위(active site)라고 함
           .. 즉, 기질과 결합하는 장소 
     - 세포,미생물생물학에서, 배양 사육을 위한 영양물 
     - 분석의 대상이 되는 물질3. 분석 화학 용어 (기기 분석 용어)  :  (기초 실험 도구)

  ㅇ 비커 (Beaker)
     - 입구가 넓고, 고체,액체를 담을 수 있는 유리 용기 (대략적인 양 측정 등에 사용 가능)

  ㅇ 뷰렛 (Burette, Buret)
     - 가변량의 용액을 정확하게 옮겨 적하할 때 사용되는 체적계 (적정 실험, 부피 측정용)

  ㅇ 피펫 (Pipette, Pipet)
     - 미세한 일정량(부피 위주)을 정확하게 취할 때 사용되는 유리 기구
        . 메스 피펫 (Volumetric Pipette) : 한 가지 부피만 정확히 잴 수 있는 피펫
        . 눈금 피펫 (Graduated Pipette) : 여러 부피측정 가능하도록 눈금이 표시된 피펫

  ㅇ 눈금 실린더, 메스 실린더 (measuring cylinder)
     - 액체부피측정하는 유리 기구
        . 용량이 다양하며, 유리 표면에 ㎖ 단위로 눈금이 새겨져 있음
        . 액체를 채워 메니스커스 읽는 법에 따라 눈금을 읽어 부피측정함
        . 뷰렛이나 피펫에 비해 정확도 떨어짐

  ㅇ 삼각 플라스크 (Erlenmeyer Flask)
     - 입구가 좁고 바닥이 평평한 원뿔 모양의 용기
        . (흘리지 않고 액체를 섞을 때 등에 사용)

  ㅇ 메스 플라스크 (Volumetric Flask)
     - 일정 부피를 정확히 맞추는 데 사용 (표선까지 용액 제조)

  ㅇ 끓임쪽 (boiling chips)
     - 액체를 끓일 때, 갑자기 끓어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넣는, 돌이나 유리 조각

  ㅇ 막자 (pestle), 막자사발 (mortal)
     - 고체 덩어리를 가느다란 분말로 갈기 위한 도구

  ㅇ 깔때기 (Funnel)
     - 용액을 용기에 옮길 때나 여과 시 사용

  ㅇ 여과지 (Filter Paper)
     - 고체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종이 재질필터

  ㅇ 페트리 접시 
     - 헐거운 뚜껑을 한 얕은 접시 (세균 배양 등에 쓰이는 생물학적 배양 기기)


4. [기타]

  ㅇ 전기 이동 (electrophoresis)
     - 전기장 영향 하의 용액이온의 이동

분석화학
1. 분석 화학   2. 분석화학 용어   3. 조성   4. 농도   5. 분율   6. 백분율,백만분율,십억분율   7. 적정 분석법   8.
분광학/분광법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최근 편집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