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6, IPng   IP Next Generation, Internet Protocol version 6  

(2022-03-02)

Internet Protocol Next Generation


1. IPv6IPv4(현재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 주소 표현의 제약으로 인한 주소고갈, 멀티미디어서비스 대응 미약 등
  ㅇ IETF의 IPng WG(2001.11 IPv6 으로 개칭)에서 표준화시킨,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2. IPv6 특징 (장점)주소영역이 기존 32 bit에서 128 bit로 대폭 확장     ☞ IPv4 주소부족, IPv6 주소, 주소자동설정 
     - 넓어진 주소공간(약 32억->1038)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IP주소 할당 방식이 가능

  ㅇ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전송할 수 있는 멀티캐스트 기능             ☞ IPv6 멀티캐스트 주소 참조
     - Unicast, Multicast 이외 Anycast라는 새로운 주소 개념 도입    ☞ Anycast(애니캐스트) 참조

  ㅇ 주소체계계층구조(Hierarchy)를 가능케함
     - CIDR 기반 계층적 할당. 확장된 주소계층.

  ㅇ 기본 헤더가 단순화되고 유연화됨                                ☞ IPv6 헤더 참조
     - 40 바이트의 고정길이(IPv4는 가변적임)로 간소화
        . 따라서 더욱 빠른 처리 가능
     - 주소 필드 등으로 인해 크기가 기존 IPv4 보다 2배로 확장(20->40 바이트)되지만,
        . 기본 필드 수가 (12->8개)로 단순화됨                       ☞ IPv4 헤더 참조

  ㅇ 확장 헤더를 통한 확장성 지원                                   ☞ IPv6 확장 헤더 참조
     - 향상된 확장 기능 및 옵션 제공.
     - 기존 IPv4의 옵션필드(IP 헤더 옵션)들이 모두 확장 헤더 필드로 옮겨짐

  ㅇ 보안 문제에 대한 해결책 제시
     - 인증, 암호화, 무결성 기능 제공

  ㅇ 이동성(Mobility) 지원                                          ☞ Mobile IP 참조
     - 주소 자동 설정(Address Auto-configuration) 기능
        . 임의의 LAN 상에서 MAC 주소라우터가 제공한 프리픽스와 결합하여 고유의
          IP 주소를 생성할 수 있게하는 기능
     - 바인드 업데이트(Bind Update) 기능
     - 자동 네트워킹 등

  ㅇ 서비스품질(QoS)의 보장 (자원할당의 지원)
     - 헤더QoS를 보장하기 위해 Traffic class(Priority) 및 Flow label 필드를 둠
       . 차등형 QoS 지원 : Traffic class 필드, 플로우별 QoS 지원 : Flow label 필드
     - 고속의 멀티미디어 전송에 적합

  ㅇ 기존 IPv4에서 IPv6로의 호환성              ☞ IPv4/IPv6 전환 기술
     - 단, IPv4에로의 역방향 호환성은 없음


3. IPv6 기본 헤더 (Basic Header)의 구성         ☞ IPv6 기본 헤더 참조

    


4. 6Bone (IPv6 Backbone)IPv4에서 IPv6로의 이전을 위해 기존 인터넷과 병행 시험되고있는 가상망으로써 북미
     ,유럽,일본 등을 잇는 비공식적인 합작 프로젝트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