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Pv4/IPv6 전환 기술
ㅇ 필요성
- IPv4 주소 고갈 문제로 인해, 새로운 IPv6 망을 확대해감에 따라,
- 점진적 전환이 필수적이나, 기존 IPv4 인프라와 서비스는 장기간 유지,공존해야 함.
ㅇ 접근 전략
- 완전한 교체가 아니라, `공존(dual operation) + 점진적 전환 구조` 해결책을 취함
2. 기술 구분
ㅇ 듀얼 스택 (Dual Stack) 기술
- 대상 장비(호스트,라우터)들이, IPv4 및 IPv6 모두 지원, 동시 처리 가능
. 단, IPv4 주소가 필요하게되어, IPv4 주소 부족 문제에는 별 도움이 안됨
- 동작 우선순위 결정
. 동작 우선순위는 상대 목적지 주소가 IPv4 형식인지 IPv6 형식인지에 따라 달라짐
. 상대측이 IPv4,IPv6 두 주소 모두 갖을 경우,
.. 현재 송신측 운영체제가 갖는 우선순위에 따라, IPv4,IPv6 결정됨
.. (例, 윈도우즈 7 이상 부터는 IPv6가 먼저 시도됨)
- 표준 : RFC 4213 (Basic Transition Mechanisms for IPv6 Hosts and Routers) 등
※ 아래는, IPv4와 IPv6의 조합을 지원하기 위한, 2가지 주요 접근 방식임
ㅇ 터널링 (Tunneling) 기술
- 2개의 IPv6 호스트 사이에 IPv4 망이 있을 경우에,
. IPv6 패킷을 IPv4 패킷 속에 캡슐화하여 사용하는 기술
- 구성
. 호스트 ↔ 라우터 : 자동 터널링 (例: Teredo).
. 라우터 ↔ 라우터 : 수동 터널링 (수동 설정 필요).
- 주요 기술 종류
. 6to4 (RFC 3056) : IPv4 공인주소 기반 자동 터널링 → 주소: 2002::/16
. Teredo (RFC 4380) : NAT 환경에서도 동작 가능한 자동 터널링 → 주소: 2001::/32
. 6rd (Rapid Deployment) (RFC 5969) : ISP가 IPv6을 빠르게 확산하기 위해 6to4를 개선.
. DS-Lite (Dual-Stack Lite) (RFC 6333) : ISP 내부망은 IPv6 기반,
.. 내부적으로 IPv6를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업체가, 점진적으로 IPv6를 도입 확대하면서,
.. 기존의 고객에게, 소수의 IPv4 주소를 사용하여, IPv4와 IPv6 연결성을 제공 가능케 함
.. (고객에게는 IPv4 연결 제공 → CGN과 결합)
- IPv4/IPv6 전환을 위한 특수 목적용 IPv6 주소
. Teredo => 2001::/32
. 6to4 => 2002::/16
ㅇ 헤더 변환 (Translation) 기술
- IPv6 패킷을 IPv4 패킷으로 직접 변환 (IP 헤더 자체 변환), 또는 그 반대.
. 터널링과 차이점 : 터널링은 IP 헤더 위에 또 다른 IP 헤더를, 추가(캡슐화)하지만,
.. 변환은 IP 헤더 자체를 변경
. 주로, 라우터/게이트웨이 장비에서 수행
. (IPv4의 NAT 방식과 유사)
- 주요 기술 종류
. NAT-P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Protocol Translation, RFC 2766)
.. IPv6 ↔ IPv4 간 IP 헤더 변환을 지원
.. 단, 여러 한계(확장성 문제, DNS 동작 문제 등) 때문에 폐지됨 (RFC 4966에서 폐지 선언)
. NAT64/DNS64 (RFC 6146, RFC 6147)
.. 현재 표준으로 쓰이는 기술
.. IPv6 전용 단말이 IPv4 자원에 접근 가능하도록, IP 주소 및 DNS 응답 변환을 제공
. CGNAT (Carrier Grade NAT, RFC 6264/6888)
.. IPv4 주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ISP 단에서 대규모 NAT 수행
. A+P (Address plus Port)
.. IPv4 주소 + 포트 번호를 조합해 다수의 가입자에게 공유
- 프로토콜 변환 관련 표준 : IPv4 및 IPv6 전용 단말 간의 프로토콜 변환 지원 (변환기)
. SIIT (Stateless IP/ICMP Translation Algorithm, RFC 2765)
. Transport Relay Translator (RFC 3142)
. NAT-PT (RFC 2766) → 현재는 deprecated됨, 대신 NAT64/DNS64가 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