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조명, 공연 조명

(2025-05-04)

PAR, DMX 512, 월박스


1. 무대 조명 (舞臺照明, Stage Lighting), 공연 조명 (公演照明, Performance Lighting)

  ㅇ 공연 예술의 시각적 표현을 지원, 강화하기 위한 조명 기술
     - 공연의 시각적 전달력을 높이고, 연출자의 의도를 조명으로 표현하며, 
       무대 위 배우나 대상의 가시성을 확보하는 장치적이고 예술적인 작업

  ㅇ 주요 목적
     - 가시성 확보 : 배우나 무대 요소의 식별을 용이하게 함
     - 연출 강화 : 극적인 장면, 상징, 동선 전환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
     - 미적 효과 : 색상, 명암, 패턴 등을 통한 예술적 표현
     - 분위기 조성 : 감정, 공간, 시간 등의 배경을 조명으로 연출

  ㅇ 주요 장비 구성
     - 콘솔 (Console) : 조명 제어기 (주로, DMX 기반)
     - 디머 (Dimmer) : 밝기 제어 장치
     - 무빙 라이트 (Moving Light) : 움직임 가능한 자동 조명
     - 고정 조명 (Static Light) : 파르(PAR) 라이트, 프레넬, 엘립소이드 등
        . PAR (Parabolic Aluminized Reflector) : 전통적인 고정형 조명으로, 강한 단색 조명 제공
        . Fresnel : 부드럽고 확산된 조명 제공 
        . Ellipsoidal Light (ERS) : 날카롭고 선명한 경계, 고보 사용 가능
     - LED 조명 (LED Light) : 저 전력, 고 효율로, 색상과 밝기 자유롭게 제어 가능
     - 고보 (Gobo) : 패턴투사하는 틀
        . 조명 기기 내부에 삽입, 의 모양이나 패턴을 만들어내는 금속/유리/필름 형태의 얇은 판

  ㅇ 주요 조명 위치
     - 전면 조명 (Front Lighting) : 배우의 얼굴과 표정을 밝힘 (기본 조명)
     - 측면 조명 (Side Lighting) : 동작 강조, 입체감 표현
     - 상부 조명 (Top Lighting) : 하이라이트, 그림자 강조, 극적 효과
     - 후면 조명 (Back Lighting) : 실루엣 형성(외곽 윤곽 강조,내부 어둡게 연출), 분리감 부여
     - 보조 조명 (Fill Lighting) : 그림자 완화, 부드러운 분위기 조성


2. DMX 512 (Digital Multiplex 512)

  ㅇ 무대 조명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디지털 통신 프로토콜
     - 미국 조명협회(USITT, United States Institute for Theatre Technology)에서 개발
     - ANSI 표준 : ANSI E1.11

  ㅇ 주요 구성 요소
     - 조명 콘솔 (Lighting Console) : 전체 조명을 제어. DMX 신호 생성
     - DMX 디머/컨트롤러 : DMX 신호를 실제 전력이나 제어 신호로 변환
     - 조명기기 (Fixtures) : 조명을 실제로 발광하는 장치 (PAR, LED, Moving Light 등)
     - DMX 케이블 (XLR)	: DMX 신호를 장치 간 전달하는 전용 케이블
     - 신호 분배기 (Splitter) : DMX 신호를 여러 라인으로 나눠주는 장치 (거리 확장 및 노이즈 방지)
     - 종단 저항 (Terminator) : 신호 반사를 방지하여 통신 안정성 확보

  ㅇ 기술적 특징
     - 데이터 전송 속도 : 250 kbps
     - 채널 수 : 512 채널 / 1 유니버스(universe)
        . 1개의 DMX 유니버스 : 최대 512개의 채널을 가짐
        . 각 채널은 0~255 값으로 (8비트 해상도) 제어 가능가질 수 있으며,
        . 이를통해, 조명기구의 밝기,색상,위치,특수효과 등을 제어
        . 주소 설정으로, 어떤 채널 범위가 어떤 장치들에 할당되는지 결정함 
     - 통신 방식 : 비동기 직렬 통신 (RS-485 기반)
     - 케이블 : XLR 5핀 (일반적으로), XLR 3핀도 사용되기도 함  ☞ Wikipedia (XLR)
     - 토폴로지 : 데이지 체인 방식
        . 마스터/슬레이브 : 마스터(콘솔) → 슬레이브(조명기기) 방식
        . 연결 구조 : (콘솔 → 장치1 → 장치2 → ... → 종단저항)
     - 종단 저항 : 라인의 마지막 장치에 120Ω 종단 저항 필요 (통신 안정성 확보용)
     - 실시간 업데이트 가능 : 수 밀리초 단위
     - 신호 거리 제한 : 약 300~400m (신호 분배기 사용 권장)

     * (기타 기술 확장)
        . Art-Net, sACN : 이더넷 기반의 조명 제어 프로토콜 (DMX를 IP 기반으로 확장)
        . RDM (Remote Device Management) : DMX 장치를 원격으로 설정하고 피드백 수신 가능
        . Wireless DMX : 무선 전송으로 케이블 없이 조명 제어 가능


3. 월박스 (Wall Box)
 
 ㅇ 무대 등에서 조명,음향,전력,신호 등의 연결을 위한 벽면 설치형 단자함 또는 연결 포트 박스
    - 내부에 여러 종류의 콘센트,DMX 단자,XLR 단자,Ethernet 포트,전원 단자 등이 장착되고,
    - 조명기기,음향장비,네트워크장비 등을 쉽게 연결,분배할 수 있도록 함

조명
1. 조명   2. 전등 효율   3. 전등 (램프)   4. 백열등   5. 무대 조명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 이력          편집 격려 (소액 후원)
[조명]1. 조명   2. 전등 효율   3. 전등 (램프)   4. 백열등   5. 무대 조명  

  1. Top (분류 펼침)      :     1,608개 분류    6,641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