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ibbs 자유 에너지
  ㅇ 일정한 온도,압력에서, 계가 최대로 수행 가능한 일의 양을 나타내는, 열역학적 함수
  ㅇ 주로, 화학반응의 (스스로 일어나는) 자발적 경향성을 예측하는 데 쓰임
     - 즉, 주위와는 별개로, 오로지 계 내부의 변화 만으로, 자발성을 설명하기 위함
  ※ Josiah Willard Gibbs (1839~1903) : 미국의 이론 물리 학자, 화학자
     - 화학반응이 자발적 과정인가 아닌가를 예측하기 위한 상태 함수로써 G를 제안 (1878년)
2. 자유 에너지의 정의
  ㅇ 자유 에너지 G의 정의  :  G = H - T·S
     - `자유 에너지(G)`를, `엔탈피(H),온도(T),엔트로피(S)`와 결합시켜 정의 함
  ㅇ 자유 에너지 G의 변화량  :  등온 과정의 경우
     - ΔG = ΔH - TΔS   
        . ΔG : 자유 에너지 변화량 
        . T   : 절대온도 (여기서는, 일정/등온 가정)
        . ΔH : 엔탈피 변화량 (필요한 에너지량으로써의 반응열 : 발열, 흡열)
        . ΔS : 엔트로피 변화량 (무질서의 척도)
     - 한편, 표준 생성 에너지에 의해 다르게 표현하면  ☞ 위키백과 (깁스 자유 에너지) 
        . ΔG = ΔG0 + RT ln Q
3. 자유 에너지 G의 의의
  
  ㅇ 열역학적 상태량의 함수적 표현 : 상태 함수 (G)
     - 즉, 자유 에너지(G)는, 열역학적 상태들(H,T,S)에 의해 결정되는 함수 : G(H,T,S)
  ㅇ 자발적 변화의 지표
     - 화학과정(특정 온도,압력 조건)의 자발적 변화 방향을 알 수 있음
     - 특히, 자발성의 온도 의존성을 다루는데 유용   (☞ 아래 4.항 참조)
  ㅇ 평형 조건의 기준
  ㅇ 화학 포텐셜과의 연결 고리
  ※ 결국, 자유 에너지 G는, 단순한 에너지 함수가 아니라,
     - 계의 자발성, 평형, 조성 변화 등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중심적인 열역학 함수
4. 자유 에너지의 변화량, 부호, 방향성
  ㅇ 화학반응에서, 자유 에너지의 변화량 (ΔG)
     - 생성물(마지막)의 자유 에너지 총합과 반응물(처음)의 자유 에너지 총합 간의 차이
        .  ΔG = G생성물 - G반응물 = G마지막 상태 - G처음 상태
  ㅇ 자유 에너지 변화량(ΔG)의 부호
     -  (+) : 비 자발적 과정    (ΔG > 0)
        . 반응이 비자발적으로 진행됨 (외부 에너지 공급 필요)
     -  (0) : 열역학적 평형상태 (ΔG = 0)
     -  (-) : 자발적 과정       (ΔG < 0)
        . 반응이 자발적으로 진행됨 (발열 반응이 많음)
           .. 자발적인 과정일 때, 열역학적 계의 변화의 방향성은,
           .. 자유 에너지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됨 
  ※ 따라서,
     - 불안정한 계일수록 : 높은 G 값 (더 많은 자유 에너지)
     - 안정한 계일수록 : 낮은 G 값 (더 적은 자유 에너지)
        . 계는 보다 안정된 쪽으로 움직여질 것으로 예상됨
     - 자유 에너지가 극소로 될 때(영과 가까워질 때), 열 평형 상태가 실현됨
        . 이때의 자유 에너지는 변화가 없는 상태임
           .. 例) 결정 : 자유 에너지가 매우 작은 열평형 상태
     - 즉,
        . 평형으로부터 멀어질 때, 자유 에너지는 증가함
        . 어떤 과정이 평형으로 이동할 때 만, 그 과정은 자발적이면서, 일을 수행 가능함
  ※ 결국, 자발적인 과정에서,
     - 계의 자유 에너지는 감소하며, 
     - 방출된 자유 에너지는 일을 할 수 있도록 동력화되고,
     - 계는 더 안정적으로 되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