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6개 가능한 상 변화
  ㅇ 액체 → 기체  :  증발 (Evaporation,Vaporization)
  ㅇ 기체 → 액체  :  응축 (Condensation)
  ㅇ 고체 → 액체  :  용융 (Melting)
  ㅇ 액체 → 고체  :  응고 (Solidification)/얼음(Cooling,Freezing)
  ㅇ 고체 → 기체  :  승화 (Sublimation)
  ㅇ 기체 → 고체  :  증착 (Deposition)
 
2. 끓음, 증발/기화, 승화의 비교
  ㅇ 끓음 (Boiling)
     - 액체 내 기포가 활발하게 생겨 표면에 도달하여 외부로 날아가는 것
  ㅇ 증발(蒸發) 또는 기화(氣化) (Evaporation, Vaporization) 
     - 증기가 표면에서 외부로 날아가는 것
     * 에너지 필요 : 주위로부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흡열 과정임
     * 증발열/기화열 (Heat of Vaporization), 증발 엔탈피 (Enthalpy of Vaporization)
        . 증발에 필요한 열 에너지로써,
        . 1 atm 하의 액체 1 mole이 증발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  ΔH증발 
        . 측면,내부의 분자 간의 인력에 기인함
           .. 단, 액체 깊은 내부 분자들은 균등하게 분자 간의 인력을 받음
     * 의존성 : 표면적과 온도에 의존적임
  ㅇ 승화 (Sublimation, 昇華)
     - 고체가 액체 상(相)을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로 상변화하는 것
3. 끓는점 / 비점 / 비등점 (Boiling Point, 沸騰點)
  ㅇ 액체 증기압이 외부 압력(주로, 1 atm 대기압)과 같아지는 온도
     -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온도
        . 액체 내부까지 기화가 일어나는 온도 
           .. 증기가 형성되는 온도
     - 例) (1 기압) 물 100 ℃, 에탄올 79 ℃, 메탄올 64 ℃, 수은 357 ℃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