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ain Name   인터넷 도메인, 도메인 이름, 도메인 네임

(2022-08-05)

도메인명, .kr, Root Domain, 루트 도메인


1. 인터넷 도메인   인터넷에서 이름을 정의할 수 있는 공간/영역/요소    ☞ 이름공간(Namespace) 참조
     - 점(.)에 의하여 구분되는 도메인 이름을 특징짓는 구성


2. 인터넷 도메인의 구조

  ㅇ 구조 : 계층구조(hierarchy structure)
     - 이를 행정구역 체제(국가·도·군·면)에 비유하면,
        . 군은 도라는 영역내에 포함되고, 도는 더 큰 영역으로 국가를 이룸 
        . 각 영역은 자신의 영역에 대한 관리제어를 책임짐 
     - 단, 인터넷 도메인은 지리적 계층구조 보다는 논리계층구조 임
        . 따라서,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같은 도메인으로 묶을 수 있음

  ㅇ 서브 도메인 (Sub-domain)
     - 각 도메인 밑에 서브 도메인으로써 계층화3. 인터넷 도메인의 이름 규칙도메인 이름 (Domain Name)
     - 이러한 이름공간에서 각 조직 및 기관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름

  ㅇ 도메인 네임들은 점(.)으로 분리된 알파벳 문자들로 구성되어 표현됨
     - 도메인 네임의 각 부분은 이름 라벨(label)이라고도 함
        . 계층화도메인 이름 상의 각 개체를 지칭하는 문자열
     - 각 라벨은 점에 의해 도메인 네임 내에서 다른 라벨과 분리되는 문자/숫자열임

  ㅇ 라벨(label) 규칙
     - 각 라벨은 최대 63개 문자(알파벳,숫자,대시 `-` 만 가능)를 가질 수 있음
     - 한글은 17자 이내
     - 한편, 루트는 길이 0 인 Null 문자임
     - 대소문자 구분 없음

  ㅇ 도메인 명칭 규칙
     - 각 라벨이 구분자 점(.)으로 연결되어 최대 길이는 255 문자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라벨을 나열

   ※ 구분자 `.` 를 포함한 전체 도메인 이름 ☞ FQDN 참조


4. 인터넷 도메인의 구성체계인터넷 도메인의 분류는 .(dot)로 구분되는 다단계 계층 트리구조
     

     - 초기 인터넷은,
        . 비 계층적이고, 평면적이어서 이름이 서로 충돌하지만 않으면 되었으나,
        . 점차 대형화 및 계층구조화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됨

  ㅇ 루트 도메인 (Root Domain)
     - 최상위는 "."으로 표현되는 root 라는 도메인이 있음

  ㅇ Top Level Domain (TLD)
     - 루트 도메인의 바로 밑에 Top Level Domain (TLD) 들이 있음
     - Top Level Domain 은 크게 generic (gTLD) 및 country (ccTLD) 등으로 나뉘어짐
         


5. 국내 도메인(.kr)의 관리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에서 담당 
     - 국내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은 최상위가 kr이고, 
     - 두번째 단계로 가입기관의 종류를 나타내는 ac(교육기관),re(연구기관) 등으로 나뉘어지며,
     - 그 하위단계는 상징적인 영문이름으로 나뉘어짐

  ㅇ kr의 하위 도메인 종류
     - 例 1) co.kr, ac.kr, re.kr, ne.kr, or.kr, go.kr, pe.kr
     - 例 2) 지역이름.kr (seoul.kr 등)

  ㅇ 2004년 현재 6개 .kr 네임서버 운용 
     - 1개 Master 서버(KRNIC) 및 5개 Slave 서버(KT, KT HITEL, DACOM 2, KREONET)


6. 인터넷 도메인 구분 또는 위임 관리                            ☞ DNS 영역(Zone) 참조

  ㅇ 전산망의 차원에서 볼 때, 도메인은 통상 관리나 보안의 목적으로 구분됨
     - 각 도메인정보관리는 다단계 계층구조에 따라 하부로 위임되며 분산 관리


7. 라우팅 대상으로써의 자치시스템 (AS,Autonomous System)계층적 라우팅을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관리통제하에 있는 자치시스템(학교 등)과 같이 
     네트워크의 영역
    - 라우팅의 대상이 되는 영역을 일반화시키는 개념             ☞  Routing Domain  참조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