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ynamic Range (동적 범위,다이내믹 레인지)
ㅇ 일반적으로, 기기를 원하는 상태로 사용가능한 동작범위
2. 동적 범위 표시 단위
ㅇ 입력에서 주어질 수 있는 가장 큰 신호와 가장 작은 신호와의 레벨 차이
ㅇ 일반적으로 dB (상대레벨), dBm (절대레벨) 이 사용됨
- 절대레벨 : 순수하게 출력되는 실제 값을 표현 [dBm]
- 상대레벨 : 어떤 값을 기준으로 한 범위(변화량)를 표현 [dB]
3. 동작형태별 동적범위 주요 의미
ㅇ 수신기
- `수신 회로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 입력 레벨`과
`허용되는 신호대잡음비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 입력 레벨`과의 차이
. 과 입력 레벨과 최소 감응 레벨 사이의 범위
.. 최소감응레벨 : 요구 SNR 값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 입력 레벨
- 쉽게, 감응 레벨 범위를 말함 ☞ 감도(Sensitivity) 참조
ㅇ 전력증폭기
- 전력증폭기 등의 장치에서 충분한 선형성을 갖는 동작 범위 (선형 동적 범위)
ㅇ 계측장비
- 계측장비가 허용 정확도까지 측정 가능한 최대 및 최소 신호 간의 레벨 차이
. 신뢰적으로 동시 측정 가능한 최대 레벨 신호와 최소 레벨 신호 사이의 범위
.. 측정기가 SNR (Signal to Noise Rate) = 1 인 지점까지 측정할 수 있는 범위
ㅇ 음향기기
- 마이크로폰 : 가장 작은 소리에서 가장 큰 소리까지 수음 범위 (약 140 [dB])
- 인간 청각 : 가장 작은 소리에서 가장 큰 소리까지 가청 범위 (약 120 [dB])
- 스피커 : 가장 작은 소리에서 가장 큰 소리까지 재생 범위
4. 계측장비 동적범위
ㅇ 동적 측정범위 제한 요소
- 장비의 최대허용입력, 큰 쪽 신호에 의한 왜곡, 장비 내부의 노이즈,
신호 간 상호 혼변조 등
ㅇ 광 파워미터 例
- Dynamic Range 표기 例 : +10 ~ - 50 dBm (60 dB)
. 최대 측정 값 : +10 dBm , Dynamic Range : 60 dB
- 통상적으로, 스펙에는 최대 측정가능 값 및 Dynamic Range 만이 표시됨
ㅇ OTDR 例
- OTDR 처럼 자체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대레벨 dBm 대신 상대레벨 dB 로 만 표현
. OTDR은 자체 광원 전력에 대한 되돌아오는 전력 손실 정도를 측정하여 거리 및
기타 손실을 측정 (상대적인 손실 정도를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