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   User-Network Interface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사용자 망 접면

(2021-08-05)

1. UNI (User Network Interface)

  ㅇ 사용자와 통신망 간의 분계점/인터페이스/접면을 추상화시킨 용어

  ※ 표준화 단체,이론 교재 등에서는, 아래와 같이,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있음
   

2. ITU-T UNI의 표준 구조기능그룹 (Function Group) : 소요 기능을 표현하는 장치들
    - 단말(Terminal Equipment) : TE1, TE2, TA
    - 망종단(Network Termination) : NT1, NT2참조점 (Reference Point)  : 각 기능그룹 상호간 인터페이스
    - T 기준점 (Terminal) : 사용자망과 공중망 사이의 접점,접면
    - S 기준점 (System) : 단말장치와 사용자망(사설망) 사이의 점점,접면
    - R 기준점 (Rate) : 비 ISDN(비 B-ISDN) 단말장치ISDN(B-ISDN)에 정합시키기
                        위한 접점,접면

  ※ 한편, B-ISDN에서는,
     - B-NT1,B-NT2 등으로 표시, 이때 참조점은 아래첨자 B를 T,S,R의 바로 뒤에 붙임


3. ISDNB-ISDN 에서, UNI 특징 비교

  ㅇ 개념적으로 볼 때, ISDN이나 B-ISDN이 모두 UNI는 동일한 기능구조를 취하고 있음
     - 그러나, 기능 구현상에 있어서는 전혀 다르며 일체의 호환성 없음
     - 한편, 양자를 구별 표시코자 할 때는 아래 첨자 또는 B- 으로 표시하여 구분
  ㅇ 물리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ISDNB-ISDN의 UNI는 같으나, 
     - 공유매체에 대한 접근 방식에 있어서는 다름
  ㅇ 한편, B-ISDNLAN(근거리통신망)을 수용하여 사용자의 망까지 공중망의 형태로 연결 가능
     - 이는 사설 BISDN이 가능하다는 의미


4. ISDN의 경우에서 UNI 기능참조모델   ☞  ISDN 기능참조모델

     


5. B-ISDN의 UNI 속도

  ㅇ 155.52Mbps  :  일반 개인 사용자
  ㅇ 622.08Mbps  :  고속을 요하는 기업,서비스제공자 등
  

6. N-ISDN의 UNI 계층구조N-ISDN에서는 OSI 계층모델의 하위 3개 계층 만으로 UNI가 정의
     
     - 사용자-망 사이에서는 Q.931, 망 내부에서는 SS7 을 사용 


7. ISDN의 UNI를 통한 사용자 서비스 형태베어러서비스 : 통신망에서의 정보전달을 기본적으로 수행 (계층 1~3)
  ㅇ 텔레서비스 : 두 단말 간의 서비스 수행 (계층 4~7)


8. 표준 : I.400 시리즈

  ㅇ I.411 : ISDN UNI의 물리적 구성
  ㅇ I.413 : B-ISDN UNI의 물리적 구성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