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5 계열의 인터페이스
  ㅇ 가입자망과 교환망 간에 사용되는 2Mbps 이하의 모든 서비스유형들을 복합접속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국제표준 인터페이스용 프로토콜
     - 표준적인 서비스노드 인터페이스(SNI) (ETSI 제안)
        . 가입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가입자망과의 서비스노드 기능, 공통선 신호방식, OAM 등이 규정됨 
2. 장점
  ㅇ 전송시스템과 교환기간 MDF 필요성 제거
  ㅇ 가입자망의 광대역화 가능 등
3. 계층화구조
  ㅇ 계층 1 : 물리계층 
  ㅇ 계층 2 : 데이타링크계층
  ㅇ 계층 3 : 5개의 프로토콜로 구성
4. 종류
  ㅇ 협대역
     - V5.1 : ITU-T G.964, ETSI 300 324-1
       ㆍ 정적인 다중화방식
     - V5.2 : ITU-T G.965, ETSI 300 347-1
       ㆍ 동적인 다중화방식
  ㅇ 광대역
     - VB5.1
     - VB5.2
5. V5.1 및 V5.2 비교
  ※ [ 범례 :        ① V5.1                   ② V5.2   ]
  ㅇ 링크지원      : ① 하나의 E1              ② 최대 16개 E1
  ㅇ 다중화        : ① 정적인 다중화          ② 동적인 다중화
  ㅇ 접속방식      : ① 사전 연결              ② 집선기능 (BCC 프로토콜 추가)
  ㅇ 프로토콜범위  : ① 계층 3의 PSTN, 제어    ② 계층 3의 PSTN,제어,BCC,링크제어,보호
  ㅇ 서비스범위    : ① PSTN,ISDN BRI          ② PSTN, ISDN BRI 및 P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