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육 (muscle, 筋肉)
ㅇ 근육 세포로 이루어진 기관
2. 구성
ㅇ 근육은, 여러개의 근섬유다발(근속)이 모여서 형성됨
ㅇ 근섬유다발은, 근섬유의 집합체
- 50~150개의 근섬유가 모여 이루어짐
ㅇ 근섬유(muscle fiber)는, 근육(골격근)의 기본단위를 이루는 세포
- 길이 1~300mm, 지름 10~100㎛의 섬유상 조직임
- 약 2천개의 근원섬유(myofibri)로 구성됨
ㅇ 근원섬유는, 근섬유를 이루는 섬유모양의 구조체
- 한편, 근육 트레이닝은, 근원섬유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근원섬유 자체를 굵게함
- 지름이 1~2㎛로, 약 100만개의 마이오필라멘트(myofilament)가 모여 한 가닥의 근원섬유를 이룸
ㅇ 마이오필라멘트는, 굵은 필라멘트와 가는 필라멘트로 구성됨
- 겹쳐 있는 부분은 어둡게, 가는 필라멘트 만 있는 부분은 밝게 보여서 가로무늬(횡문)이 나타남
- 굵은 필라멘트는, 마이오신(myosin) 단백질, 가는 필라멘트는, 액틴(actin) 단백질로 구성됨
※ 한편, 근육,근섬유다발,근섬유를 감싸고 있는 막을,
- 각각, 근상막(epimysium), 근주막(perimysium), 근내막(endomysium) 이라고 함
3. 구분
ㅇ 위치,기능에 따른 구분
- 골격 근육 : 굉장히 빠름, 가로 무늬 있음 (수의근, 가로무늬근, 운동신경)
. 골격에 붙어 움직을 만들어내는 근육
. 뼈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근육으로, 온몸의 뼈 사이에 걸쳐 붙어있음
. 인체 내 400여개 이상 존재, 수축과 이완으로 관절을 움직이며,
세밀하고도 빠르고 복잡한 운동까지 가능하게 함
. 관절을 사이에 두고, 각각 다른 뼈에 힘줄 형태로 붙어있음
- 심장 근육 : 약간 빠름, 가로 무늬 있음 (불수의근, 가로무늬근, 자율신경)
- 내장 근육 : 느림, 가로 무늬 없음 (불수의근, 민무늬근, 자율신경)
ㅇ 형태적 특성에 따른 구분 : 가로무늬근 (골격 근육, 심장 근육), 민무늬근 (내장 근육)
ㅇ 기능적 특성에 따른 구분 : 수의근, 불수의근
4. 주요 근육 例)
ㅇ 괄약근, 조임근 (sphincter) : 개폐, 역류 방지 등의 역할을 하는 근육
- 고리 모양을 하며, 신체에 50여개 존재
- 안륜근(눈둘레근) : 눈꺼플을 여닫는 근육
- 구륜근 : 입술을 여닫는 근육
ㅇ 민무늬근 (평활근, smooth muscle)
- 기관지,위,소화관,혈관,방광,눈의 홍채 등 내부 기관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
- 통상, 수축,이완을 통해, 관 안의 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
ㅇ 연동 운동, 이동 운동, 신축 운동 (peristalsis)
- (내용물의 수송, 동물 몸의 이동)
- 종주근 : 수축하면 굵고 짧아짐 (소화관 길이를 짧게함으로써, 굵고 짧아짐)
- 환상근 : 수축하면 가늘고 길어짐 (소화관 직경을 좁게함으로써, 가늘고 길어짐)
ㅇ 전두근 : 이마 힘살
ㅇ 삼각근 : 어깨를 덮고 있으며, 어깨 관절에서 팔을 몸에서 떨어뜨려, 수평으로 만듬
ㅇ 승모근 : 어깨 관절을 넓게 덮고 있는 근육
ㅇ 팔
- 위 팔 : 팔꿈치를 구부리는 근육
. 상완 이두근 : 수축 (알통)
. 상완 삼두근 : 펴짐
. 상완근(위팔근) : 상완 이두근을 보조함. 상완 이두근의 뒷쪽에 위치
- 아래 팔
. 완요골근
. 원회내근
. 회의근
ㅇ 복직근 (배곧은근)
ㅇ 장요근 (고관절 굽힘근)
- 장골근
- 대요근 (大腰筋, 큰허리근) ☞ 위키피아 (큰허리근)
ㅇ 엉덩이
- 대둔근 : 고관절을 펴는 근육, 둔부(엉덩이)에 있는 가장 큰 근육
- 중둔근
- 소둔근
ㅇ 다리
- 대퇴 근막장근 (넙다리 근막장근)
- 봉공근 (넙다리 빗근)
- 대퇴 사두근 (넓적다리 네갈래근)
. 대퇴직근 (大腿直筋, 넙다리곧은근)
. 비측광근 (腓側廣筋), 외측광근(外側廣筋) (가쪽넓은근)
. 중간광근 (中間廣筋) (중간넓은근)
. 경측광근 (脛側廣筋), 내측광근 (안쪽넓은근)
- 전경골근 (앞정강근, 앞정강이뼈근) : 정강이 뼈 앞에 있는 근육
- 하퇴 삼두근 (장딴지세 갈래근) : 비복(장딴지)를 만드는 근
. 비복근 (2두) (장딴지근)
. 가자미근 (1두)
- 아킬레스건
5. 기타
ㅇ 액틴 (근육 구조 단백질), 미오신 (근 단백질의 일종)
ㅇ 등척성 수축 (isometric) : 길이가 고정된 수축이지만 내부에서 장력 발생
- 例) 이로 딱딱한 것을 씹을 때 저작근의 수축
ㅇ 등장성 수축 (isotonic)
ㅇ 근육 수축에 필요한 ATP의 공급 : 즉시 체계, 해당 과정, 산화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