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계획 용어

(2022-12-26)

실험요인, 인자 , 요인 , Factor , 요인 효과, 효과 , 수준 , 처리


1. [통계]  실험계획 주요 용어

  ㅇ 요인 or 인자 (Factor) 
     - 실험(관측값)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동 원인 / 속성 / 변수 (범주형 변수들)
        . 例) 성별 2개 구분(남녀)을 갖는, 1개 수준인 경우에, 1개 요인 (즉, 성별 1개)
        . 例) 혈액형 4개 구분(A,B,AB,O)을 갖는, 1개 수준인 경우에, 1개 요인 (즉, 혈액형별 1개)
        . 例) (A,B,C, ... ,N) : 1개 수준 값을 갖는 N개 요인
     * (모집단을 분류하는 기준)

  ㅇ 수준 (Level) or 요인 수준 or 인자 수준 (Factor Level) or 조건
     - 각 인자가 취할 수 있는 값들의 그룹/범위/종류 (서로다른 실험 조건들, 서로다른 모집단들)
        . 例) 
           .. 남 1,여 0 로 수치화할 때, 1개 수준 임 (이때 2개 값 구분을 갖음)
           .. 그룹별 성격으로 계층적 구분하여 실험할 때, 2개 계층적 수준(그룹, 성격)을 갖음
        . 例) (A1,A2, ... An, B1,B2, ... Bn, C1,C2, ... ,Cn) : n개 수준 값을 갖는 3개 요인
     - 채택된 인자들이 질적,양적으로 변화되는 조건
     * (실험 조건에 따라 취해진 인자 별로, 구성 가능한 다양한 수준의 조합이 있을 수 있음)

  ㅇ 처리 (Treatment)
     - 서로다른 여러 인자 및 수준이 있을 때, 이러한 인자 및 수준의 조합
     - 즉, 여러 인자 및 수준의 서로다른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실험하는 행위

  ㅇ 효과 or 요인 효과 (Factorial Effect)
     - 실험의 목적으로써, 요인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요인 효과)를 판정하게 됨 
     - 사실상, 실험의 성공 여부는, 요인 효과가 있을 때, 그것을 정확히 검출하는 것임

  ㅇ 특성치 (Characteristic Value) or 반응변수 (Response Variable)
     - 실험에서 데이터의 형태로 측정되는 결과치 (반응치)

  ㅇ 인자 배치 (Factorial Design)
     - 2 이상의 인자(요인)에 대해, 2 이상의 수준으로 처리하여 실험하려는 것
     - 이때, 서로 독립적인 인자를 어떻게 배치하는가
       . 1원 배치법 : 한 인자가 여러 수준에서 관측값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분산분석법 
       . 2원 배치법 : 두 인자의 각 수준에서 관측값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분산분석법

  ㅇ 블록 (Block)
     - 동질적인 실험 최소 단위의 묶음
        . 例) 한 구획의 땅, 같은 어미로부터 태어난 동물 등

  ㅇ 교호 (Interaction) 작용
     - 인자가 서로 영향을 주는 것

  ㅇ 교락 (Confounding) 작용
     - 2 이상의 인자 효과가 뒤섞여서 각 인자 효과를 분리할 수 없은 것 (상쇄)

  ㅇ 실험 집단, 통계 집단
     - 실험 집단, 처치 집단 (Experimental Group, Treatment Group)
        . 진짜 효과를 보기위해, 처치가 이루어진 그룹 (진짜약 등)
     - 통계 집단, 대조 집단 (Control Group)
        . 기존의 방식대로, 처치가 이루어진 그룹 (위약 등)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