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력 / 시 해상력 / 눈의 해상력 (Visual Acuity)
ㅇ 물체의 형태를 알아보는 능력
- 주로, 대상 물체에 대해 변별이 가능한 시야 각도
2. 눈의 인식 능력 구분
ㅇ 분리력 (separable)
- 서로 떨어진 두 점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 = 최소 분리력(Minimum Seperablity)
= 눈의 분해능(해상력)
= 최소 분리 시각 (Miimum Angle of Resolution)
- 시력 검사 등의 표준이 됨
. 최소분리시각 1분(1')각을 갖는 1.0 표준 시력 (눈의 해상도 측정 기준)
ㅇ 가시력 (visible)
- 인식 가능한 물체(점)의 최소 크기 = 최소 가시력(Minimum Visibility)
ㅇ 가독력 (legible)
- 가장 작은 그림,글자,숫자 등의 판독력
ㅇ 판별력 (discrominable)
- 시야 내 여러 물체의 상호 위치 관계(평행,한쪽 끝이 가까움 등)의 인식력
3. 눈의 조절기능(Accommodation)
ㅇ 정시 (Emmetropia)
- 무한 거리에서 오는 평행 광선이 망막 중심에 결상(結像)되는 경우
. 먼 곳(무한대)을 볼 때, 상점 초점이 망막 중심와(中心窩,Fovea)에 일치
ㅇ 비정시 (Ametropia) 또는 굴절 이상 (Anomalies of Refraction)
- 먼 곳 물체의 상이 망막이 아닌 망막 앞뒤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 굴절 이상 (조절 장애)
. 미 조절 하에 먼 곳의 평행광선이 망막에 정확히 상을 만들지 못하는 굴절 이상
- 구면 굴절 이상 : 근시, 원시, 노안
. 근시 (近視, Myopia) : 물체의 상이 망막 앞쪽에 맺힘 (가까운 곳이 잘보임)
. 원시 (遠視, Hyperopia) : 물체의 상이 망막 뒤쪽에 맺힘 (먼 곳이 잘보임)
. 노안 (老眼, Persbyopia) :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근점까지의 거리가 점점 증가함
- 기타 굴절 이상 : 난시 (亂視, Astigmatism)
. 굴절면이 비 구면으로, 토릭면이거나 불규칙한 면을 이루어,
. 멀리서 오는 광선속이 한 점에 상을 형성 못하고, 동적 굴절 상태에 있는 경우
* 이 중에 근시,원시는,
. 주로, 축 상으로 너무 길거나 짧은 안구 모양
. 또는, 각막 표면 곡률이 너무 크거나 작음에 기인
. 결국, 멀거나 가까운 곳을 망막에 선명히 맺게하는, 각막,수정체 등 조합에 의한 결상력 부족
ㅇ 사시, 약시
- 사시 (strabismus) : 두 눈의 정렬 이상. 이중상 경험. 양안에 의한 깊이 지각에 어려움
- 약시 (amblyopia) : 눈의 오정렬. 한쪽 눈의 시력 교정이 매우 나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