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열용량, 비열 비교 
  ㅇ 열 용량 (Heat Capacity)  :  C
     - 물질이, 큰 온도 변화 없이, 열적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
  ㅇ 비열 (Specific Heat Capacity)  :  c 또는 C              ☞ 비(比):Specific 참조
     - 단위 질량 물질이, 열을 흡수하는 본질적인 능력의 비교 척도
        . 단위 질량을 1℃(또는 1K)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 물질 마다 고유한 비열 값을 갖음
        . 즉, 비열은, 여러 다른 물질의 에너지 저장 능력을 비교할 수 있는, 열역학적 상태량 임
2. 비열의 정의
  ㅇ (정의)  단위 질량 (때론,몰수) 당 열 용량
  ㅇ (척도)  1 [g] 물질을 1 [K] 또는 1 [℃] 올리는데 필요한 열 에너지(열량) [J]
  ㅇ (표현식)  열량 Q  =  질량 M  x  비열 C  x  온도변화 △T   
     - C = (△Q / △T)· 1/M  = (열용량) / (질량)
  ㅇ (단위)  [kJ/kg·1/K], [kJ/kg·1/℃], [J/(mol·K)]
  ㅇ (의미)  열을 흡수하여 에너지로써 저장하는 능력
     -  단위 질량 당 물질을 1도 온도 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ㅇ (용어)  비열 (比熱) = 견줌 열용량 (Specific Heat Capacity, Specific Heat)
3. 비열의 구분
  ㅇ 정적 비열 (specific heat at constant volume)  :  cv
     - 일정 체적 하에, 단위 질량 물질을 1 도 올리는데 필요한 열 에너지
        . 부피는 일정하나, 압력이 변함
     * 일정 부피 하에는, 
        . 흡수된 열은 오로지 내부 에너지 (운동 에너지) 만을 증가시킴
  ㅇ 정압 비열 (specific heat at constant pressure)  :  cp
     - 일정 압력 하에, 단위 질량 물질을 1 도 올리는데 필요한 열 에너지
        . 압력이 일정하나, 부피가 변함
     * 일정 압력 하에는, 팽창에 따른 일을 하게 되므로, 
        . 흡수된 열은 내부 에너지 증가 뿐만 아니라, 팽창에 따른 일로도 사용됨
  ※ 물질이 열을 받을 때/흡수 할 때, 조건(압력,부피 등)에 따라 에너지 저장 능력이 달라지므로,
     - (특히, 기체는 정압 조건에서 팽창하며 일(에너지 손실)을 하는 등  :  아래 4.항 참조)
     - 상황에 맞는 비열(정적 비열,정압 비열)을 사용해야, 정확한 열역학적 계산이 가능함
4. 기체, 고체/액체에서, 비열
  ㅇ 기체의 경우  :  비열값이 달라짐 (변화 큼)
     - 일정 압력 및 일정 체적 하에서도, 온도에 따라 비열이 달라짐
        . 따라서, 정적 비열, 정압 비열 모두 고려 필요
     
     * 만일, 가열하면 열 팽창에 의하여 외부 압력에 대해(대항하여) 일을 하게됨
        . 가한 열의 일부는, 내부 기체를 가열하지만,
        . 그 나머지는, 외부 압력에 대항하여 외부 팽창을 하면서 일을 하는데에도 사용됨
     * 결국, cv (정적 비열) <  cp (정압 비열) 
        . 팽창 일에 필요한 에너지를, 외부에서 추가적으로 공급해야 하므로, 
        . 정압 비열이 정적 비열 보다 크게 됨
     * (의존성)
        . 이상기체인 경우에 만, 비열은 온도에 만 의존함
        . 대부분의 순수물질에서, 비열은 온도 뿐 만 아니라 비체적,압력에도 일부 의존함
     * 기체의 비열은, 기체의 성질을 파악하고, 열 관련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
        . 실험과 이론적 계산을 통해 기체의 비열을 알아내고, 이로부터 다양한 문제 해결 및 응용
  ㅇ 고체,액체의 경우  :  비열값의 차이가 작음 (변화 작음)
     - 부피 팽창이 두드러지지 않아, 정적 비열은 별 변화 없음
        . 따라서, 주로, 정압 비열 만을 그대로 비열로 삼음
     * 주요 정압 비열 값 例  [J/℃·1/g (1 atm 25℃에서)]
        . 구리 : 0.387, 금 : 0.129, 납 : 0.128, 물 : 4.184, 철 : 0.4498, 은 : 0.235
        . 한편, 물은 유난히 높은 비열(열 흡수 능력)을 갖는 물질 임
           .. 낮은 온도 범위에서, [cal/℃·1/g] 단위로는, 값이 1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