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선 LAN (WLAN, Wireless LAN)
ㅇ 유선 LAN과 무선단말 사이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제반 기술 및 시스템
- 유선랜 기술을 무선 환경에 맞춰, 유선랜의 장점,기능 들을 그대로 지원
. 유선랜과의 호환성 유지 : 동일한 프로토콜 계층 구조 등 사용
- 비교적 낮은 출력, 짧은 통신 반경이지만, 간편한 설치와 낮은 비용으로, 무선 접속 편의성 제공
- 비면허 대역(ISM)에 따른 신호 간섭,보안 이슈 등 상존
2. 무선 LAN의 주요 기술 개요
ㅇ 무선 LAN 망 형태 ☞ 무선 LAN 토폴로지
- 무선 LAN 토폴로지 구분 : Ad-hoc Mode (AP 미사용), Infrastructure Mode (AP 사용)
- 무선 LAN 망 구성 단위 : ESS, BSS, IBSS 등
ㅇ 무선 LAN 접속 종류 ☞ 무선 LAN 접속방식
ㅇ 무선 LAN 공유 방식 ☞ 802.11 매체접근 방식 (DCF, PCF, EDCA 등)
ㅇ 무선 LAN 보안 ☞ 802.11 보안, 802.11 인증, 802.11i
- 보안 규격 변천 : WEP (초기) -> WPA (2003) -> WPA2 (2004) -> WPA3 (2018)
ㅇ 무선 LAN 결합 ☞ 802.11 결합
- 결합 완료 후, 결합의 식별 : 결합 ID (AID)
ㅇ 무선 LAN 통신계층 ☞ 무선 LAN 계층
- 무선 LAN 물리계층 : 실제 전파를 통해 데이터 전송
- 무선 LAN MAC 부계층 : 공유 무선 매체에서 충돌 없이 데이터를 송수신 제어
ㅇ 주요 주파수 대역 및 표준 ☞ 무선 LAN 주파수, ISM 대역, 무선 LAN 표준
- 2.4 GHz 대역 : 802.11, 802.11b, 802.11g, 802.11n ☞ 무선 LAN 주파수(2.4GHz)
- 5 GHz 대역 : 802.11a, 802.11n, 802.11ac ☞ 무선 LAN 주파수(5GHz)
ㅇ 무선 LAN 프레임 ☞ PLCP 프레임 포멧, 802.11 MAC 프레임
ㅇ 무선 LAN 무선단말 식별 주소 ☞ MAC 주소, 802.11 주소 필드
- 유선LAN,무선LAN 구분없이 동일 유형의 유일무이한 MAC 주소
ㅇ 무선 LAN 세대 ☞ 와이파이 세대
- Wi-Fi 4 (802.11n), Wi-Fi 5 (802.11ac),
Wi-Fi 6 (802.11ax, 혼잡 없는 6GHz 대역 사용, OFDMA + MU-MIMO),
Wi-Fi 7 (802.11be : 진행 중, 30 Gbps+, 320MHz 채널폭, 더 많은 MIMO 스트림 등)
3. 무선 LAN의 일반 사항
ㅇ 구성요소
- AP (Access Point, 무선 접속 중계 역할), 무선단말내 RF 모뎀 카드, 무선 공간 영역
ㅇ 국내 법 관련
- 전파법 19조(무선국의 개설) 4항,
전파법 시행령 30조(신고하지 아니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에따라
- 무선 LAN 기기는 형식등록 만으로 허가/신고없이 사용 가능
ㅇ 출력 제한 (국내)
- DSSS 방식은 100mW/MHz 이내, FHSS 방식은 3mW 이내 등
ㅇ 서비스 거리
- 반경 수십 m 내외
ㅇ 전송 방식 진화
- 초기 :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 이후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 고속 다중 전송 방식 사용
ㅇ Duplexing
- Half-duplex(반이중) 방식으로써 동시 송수신 불가
ㅇ 무선 LAN 칩셋
- Intersil, Agere, AMD, Intel 등 다양한 반도체 업체에서 제작
ㅇ 무선 LAN 표준화
- 무선접속기술 (PHY,MAC) 표준화 : IEEE 802.11
- 응용기술 (상위 계층) 표준화 : Wi-Fi Alliance (W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