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i-Fi (와이파이, Wireless Fidelity)
  ㅇ 상용화된 `무선 LAN` 응용을 총칭
  ※ [참고]  ☞  WLAN (Wireless LAN, 무선 LAN) 참조
     - 무선LAN 토폴로지  :  Ad-hoc Mode, Infrastructure Mode
     - 무선LAN 접속방식   ☞  무선 LAN 물리계층 (보안 관점, 물리 매체 관점, 공유 매체 관점) 참조
     - 무선LAN 매체접근방식  :  DCF, HCF(EDCA, HCCA)
     - 무선LAN 인증방식  :  Pre RSN (개방 인증, 공유키 인증),  RSN (802.1X/EAP, Pre Shared Key)
     - 무선LAN 주파수  :  무선 LAN 주파수(2.4GHz), 무선 LAN 주파수(5GHz)
2. Wi-Fi Alliance (WFA)
  ㅇ 상용화에 초점을 맞춰 구성된 산업 연합 단체
     - IEEE에서 802.11 관련 표준을 만들면, 
     - 이의 상업적 응용을 염두에 두고,
     - 무선 LAN 장치 상호 간에 상호 호환성을 확보하고,
     - 표준에 대한 적합성 검사 규칙을 제시하는 등
  ㅇ 참여업체 : 삼성전기, 3Com, Intersil, Lucent 등 600여개 이상
  ㅇ Wi-Fi Alliance 상호운용성 인증
     - 상호운용성에 대한 시험을 통과한 장비에 대해,
     - `Wireless Fidelity (Wi-Fi,WiFi)` 또는 `Wi-Fi CERTIFIED` 라는 인증(Certification)을 부여
  ※ [참고] ☞ Wi-Fi Alliance 홈페이지
3. Wi-Fi 명칭
  ㅇ 세대별 명칭 (물리계층 상의 802.11 주요 규격에 따라 세대가 구분됨)
     - Wi-Fi 1  :  802.11b (2.4GHz, ~ 11 Mbps) (Legacy)
     - Wi-Fi 2  :  802.11a (5GHz, ~ 54 Mbps, OFDM) (Legacy)
     - Wi-Fi 3  :  802.11g (2.4GHz, ~ 54 Mbps, OFDM) (Legacy)
     - Wi-Fi 4  :  802.11n (2.4GHz/5GHz, ~ 600 Mbps, OFDM, MIMO) (HT)
     - Wi-Fi 5  :  802.11ac (5GHz, ~ 6.9 Gbps) (VHT)
     - Wi-Fi 6  :  802.11ax (HE)
        . 전송속도 개선, 주파수 효율성 높임, 혼잡시에도 성능 유지, 긴 밧데리 성능 등
        . 피크 속도를 높이기 보다는, 네트워크 내 효율성 개선에 촛점을 둠
           .. (다수 AP, 다수 무선단말, 가변 트래픽 적응 등)
  ㅇ 보안 규격 명칭  :  WPA, WPA2, WPA3
  ㅇ 멀티미디어 QoS 규격 명칭  :  W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