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a Moment   면적 모멘트

(2025-10-18)

Moment of Inertia of Area, 면적 관성 모멘트, Polar Moment of Inertia, 극 관성 모멘트


1. 면적 모멘트 (Area Moment) 이란?

  ㅇ 단면의 기하학적 분포 특성을, 수치로 표현해 보인 값
     - 구조물강도, 강성, 안정성 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됨

  ㅇ 구분  :  1차 면적 모멘트, 2차 면적 모멘트


2. 1차 면적 모멘트 (First Moment of Area)

  ※ '면적 요소'과 `그것의 축으로부터 거리`와의 곱을, 전체 면적에 대해 적분한 값
     - 축으로부터 단면 내 각 지점까지,
     - 거리의 제곱에 그 지점의 미소 면적과의 곱을
     - 단면 전체에 걸쳐 합산(적분)한 값

  ㅇ 축에 대한 1차 면적 모멘트 (Q)  :  (면적무게중심 결정에 유용)
     - 1차 면적 모멘트
        . x축에 대한 1차 면적 모멘트  :  {# Q_x = \int_A y dA #}
        . y축에 대한 1차 면적 모멘트  :  {# Q_y = \int_A x dA #}

     - 무게중심 좌표
        . x축에 대한 무게중심 좌표  :  {# \bar{x} = Q_y/A = 1/A \, \int_A x \, dA #}
        . y축에 대한 무게중심 좌표  :  {# \bar{y} = Q_x/A = 1/A \, \int_A y \, dA #}

     * 1차 면적 모멘트 값이 클수록, 
        . 면적이 축으로부터 멀리 퍼져 있거나 면적 자체가 크다는 의미
        . 또는, 무게 중심(질량 중심)이 축에서, 더 멀리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함

     * 대칭 도형은 중심 축 기준으로 1차 면적 모멘트가 0이 됨


3. 2차 면적 모멘트 (Second Moment of Area)

  ※ `면적 요소`과 `그것의 축으로부터 거리의 제곱`과의 곱을, 전체 면적에 대해 적분한 값 

  ㅇ 축에 대한 2차 면적 모멘트 (면적 관성 모멘트) (I)  :  (단면의 굽힘 저항성)
     - 2차 면적 모멘트 (면적 관성 모멘트)
        . x축에 대한 2차 면적 모멘트  :  {# I_x = \int_A y^2 dA #}
        . y축에 대한 2차 면적 모멘트  :  {# I_y = \int_A x^2 dA #}

     * 이 값이 클수록, (축으로부터 면적 요소의 거리 제곱이 클수록)
        . 해당 단면(면적)이 굽힘에 더 크게 저항한다는 의미

  ㅇ 점에 대한 2차 면적 모멘트 (극 관성 모멘트) (J)  :  (단면의 비틀림 저항성)
     - {# J=I_x + I_y=\int_A (x^2 + y^2) dA#}
        . 한 점(보통 중심점)을 기준으로 면적 요소의 거리에 대한 적분

     * 단면 내 모든 면적 요소가 중심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퍼져 있는가를 나타냄
     * 이 값이 클수록, 주어진 단면의 회전 저항성을 강하게 나타냄
        . 축을 따라 작용하는 비틀림(Torsion)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냄
     * 이 값이 클수록, 같은 토크(비틀림 모멘트)를 가했을 때, 변형(비틀림각)이 작아짐  

  ※ 이들 값이 클수록, 단면이 굽휨, 비틀림에 강하게 저항함
     - 특정한 축 또는 점을 기준으로 단면이 회전(굽힘비틀림)에 얼마나 저항하는지를 나타냄


4. 면적 관성 모멘트 (Moment of Inertia of Area)의 물리적 의미

  ㅇ (개요)
     - 주어진 단면의 회전(굽힘)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특성치
     - 응력변형률 분석, 특히 굽힘 해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함

  ㅇ (정의식)
     - 특정 축에 대한 면적의 2차 모멘트 (Second Moment of Area)
        .  I = ∫A r2 dA
           .. 여기서, r은 기준축으로부터의 거리

  ㅇ (의존성)
     - 단면의 모양, 크기, 기준 축에 의존함

  ㅇ (물리적 의미)
     - 단면의 면적이 기준축에서 멀리 위치할수록, 굽힘에 대한 저항이 커짐
     - 거리의 제곱이 포함되므로, 멀리 있는 면적일수록 훨씬 큰 영향력을 가짐


4. 극 관성 모멘트 (Polar Moment of Inertia)의 물리적 의미

  ㅇ (개요)
     - 원형 단면의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특성치

  ㅇ (정의식)
     - 한 점(보통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면적의 2차 모멘트
        .  J = ∫A ​(x2 + y2) dA

  ㅇ (적용 대상)
     - 주로, 원형 단면 (축, 샤프트, 파이프 등)

  ㅇ (물리적 의미)
     - 값이 클수록, 같은 토크를 가해도 비틀림 각(변형량)이 작아짐
     - 따라서, 큰 극관성모멘트를 가진 단면일수록, 비틀림에 강한 구조임
     - 주로, 원형 단면 또는 원형 포함 단면에 적용됨
        . (원형 단면이면, 다음과 같이 계산 가능)  J = 2πr4

하중
1. 하중   2. 굽힘, 비틀림   3. 면적 모멘트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Copyrightⓒ 차재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