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광섬유 격자 소자 (Optical Fiber Grating)
ㅇ 광섬유 코어의 굴절율을, 광섬유 축을 따라, ㎛ 단위로 주기적인 변화를 주어,
- 통과하는 여러 파장의 광 신호 중 특정 파장의 광 만을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광소자
ㅇ 회절격자와 달리, 광섬유 내부에서 구현된 일종의 내부 반사 격자임
- 회절격자 (Diffraction Grating) : 빛의 진폭,위상에 주기적인 변화를 주도록하는 광학장치
2. 광섬유 격자의 특징 및 응용
ㅇ 특징
- 광섬유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 광섬유와의 연결이 용이함
. 삽입손실이 작음
- 소형, 경량
- 우수한 파장 선택성
. 파장 선택도가 높음
- 주위 환경 변화의 감지 가능 (광섬유 격자 센서)
- 편광에 덜 민감함
ㅇ 응용
- 분산 보상기 : 주로 광통신 상의 펄스 신호 파형의 분산(Dispersion)을 보상
- 광통신 필터 : 파장 선택 필터, 파장 제거 필터 등
- OADM : 광 가변 파장 추가/제거 장치
- 이득 평탄화 필터 : EDFA의 불균일한 증폭 특성 보정
- 광섬유 레이저 및 공진기
- 고정밀 센서 : 온도,압력,기계적 변형 감지 (FBG 센서) 등
3. 광섬유 격자의 제조 방법
ㅇ 게르마늄이 높게 도핑된 광섬유 코어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UV 레이저에 주기적으로 노출시켜,
굴절률의 변화를 일으키어 만들어짐
ㅇ 구분
- 홀로그래피 (Holography) 방법 : 두 빔의 간섭으로 격자 형성
- 위상 마스크 (Phase Mask) 방법 : 일정한 패턴의 마스크를 통해 UV를 조사
4. 광섬유 격자의 구분
ㅇ 격자 주기에 따른 구분
- 단 주기 격자 (short-period)
. 격자 주기 : 수백 나노미터
. 격자 주기가 짧기 때문에, 광섬유 코어 빛을 반대방향의 빛에 결합시켜 반사시킴
- 장 주기 격자 (long-period)
. 격자 주기 : 수십~수백 마이크로미터
. 격자 주기가 길기 때문에, 광섬유 코어로 진행하는 빛이 클래딩 빛과 결합하여,
클래딩 부분으로 진행하는 빛을 유도할 수 있게됨
ㅇ 격자 구조에 따른 구분
- Uniform Grating
. 격자가 일정한 주기로 새겨짐
- Tilted Grating
. 격자가 광축에 대해 수직이 아니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새겨짐
- Chirped Grating
. 격자 주기가 선형 또는 비선형적으로 변화되며 새겨짐
5. 광섬유 브래그 격자 (FBG, Fiber Bragg Grating)
ㅇ 특히, 단 주기 격자의 대표적 형태로써,
- 광섬유 내에 주기적으로 굴절률을 변화시켜,
- 특정 파장의 빛 만을 반사시키는 필터 역할을 함
* 특히, 브래그 조건에 만족되는 좁은 영역의 특정 파장에 만 반응(투과,반사 등)함
ㅇ 구조
- 광섬유 코어 내의 유효 굴절률을 축방향으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화시킨 격자 구조임
. 이 구조는, 광통신, 센서, 레이저 시스템 등 다양한 광 기술 응용 분야에서 사용됨
. 특히, 외부 물리적 변화(온도,압력,변형 등)에 따라 반사 파장이 민감하게 변하므로,
정밀 감지 센서로서 널리 활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