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 전류원 (Constant Current Source)
  ㅇ 부하 저항이 변해도, 일정한 부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전류원
     - 부하 저항이 변할 때 부하 전압이 바뀌어도, 부하 전류는 그대로여야 함
     - 이때 내부 저항(임피던스)가 매우 커야 함
  ※ 정 전류원은 많은 전자회로에 응용이 됨
     - 例) 집적회로에서 정 전류원 주요 용도
        . 능동 부하, 정 전류원에 의한 바이어스 회로 등
2. 정 전류원 구현 例)
  ㅇ 연산증폭기에 의해, 정전류원 구현 : 반전 증폭기
      - 연산증폭기 반전단자(-)가 가상접지 상태이므로,
        .   I = V/R
     - 연산증폭기 입력임피던스가 매우 크므로, 모든 전류는 R를 통해 흐르므로,
        .   I = I = VR
     - 만일 R이 변해도 V,R이 일정하면,
     - 부하전류 I도 일정하게 유지됨
  ㅇ 집적회로에서, 정전류원 구현 : 전류 미러(Current Mirror)에 의한 방법
     - (BJT 경우)
     - 연산증폭기 반전단자(-)가 가상접지 상태이므로,
        .   I = V/R
     - 연산증폭기 입력임피던스가 매우 크므로, 모든 전류는 R를 통해 흐르므로,
        .   I = I = VR
     - 만일 R이 변해도 V,R이 일정하면,
     - 부하전류 I도 일정하게 유지됨
  ㅇ 집적회로에서, 정전류원 구현 : 전류 미러(Current Mirror)에 의한 방법
     - (BJT 경우)
      . 베이스는 베이스끼리, 이미터는 이미터끼리, 서로 연결된,
           .. 두개의 정합된 (똑같은) 트랜지스터들로 구성
        . Q1의 베이스-컬렉터 단락은, 다이오드 처럼 동작
        . 양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컬렉터 단자 간에 동일한 전압 및 전류를 갖음
        . Q1의 컬렉터 전류가 거울영상(image mirror) 처럼 부하 전류 I과 같아짐
        . Q2가 활성영역에서 동작하는한, Q2의 컬렉터 전류 I(부하 전류)는 I와
          거의 같으며, 정전류 전원으로 동작함
     - (MOSFET 경우)
        . Q1을 포화영역에서 동작 필요
        . Q1 게이트 전류는 0
        . 베이스는 베이스끼리, 이미터는 이미터끼리, 서로 연결된,
           .. 두개의 정합된 (똑같은) 트랜지스터들로 구성
        . Q1의 베이스-컬렉터 단락은, 다이오드 처럼 동작
        . 양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컬렉터 단자 간에 동일한 전압 및 전류를 갖음
        . Q1의 컬렉터 전류가 거울영상(image mirror) 처럼 부하 전류 I과 같아짐
        . Q2가 활성영역에서 동작하는한, Q2의 컬렉터 전류 I(부하 전류)는 I와
          거의 같으며, 정전류 전원으로 동작함
     - (MOSFET 경우)
        . Q1을 포화영역에서 동작 필요
        . Q1 게이트 전류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