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ㅇ VoIP 또는 멀티미디어 통신용 신호 프로토콜
     - 1 이상의 양방향 멀티미디어 세션/호(呼)를 설정,변경,해제를 할 수 있음
     * 여기서, 세션은, 
        . `음성(오디오) 통화 세션`, `멀티미디어 화상회의 세션`, `게임 세션` 등
 
2. SIP의 특징 
  ㅇ VoIP 표준 
     - ITU-T H.323과 대응되는 IETF의 신호 프로토콜(IETF SIP) 
        . H.323이 과거 인터넷폰에 대한 사실상의 표준이었으나, 지금은 SIP가 우세함
        . ITU-T가 IETF SIP 표준화 작업에 참여함으로써, 사실상 SIP로 단일화 됨
  ㅇ H.323 에 비하면 매우 단순하며, 호 설정이 간단
     - 파싱(Parsing) 및 컴파일(Compile)이 쉬워 확장 및 구현이 용이
  ㅇ 호(呼)의 설정,변경,종료를 위한 일종의 시그널링 기술임
     - 호(呼)의 경로 배정을 목적으로 Redirect 및 Proxy Server에 의해 중계도 가능
     - 세션의 관리 보다는 세션의 설정/변경/종료를 위한 프로토콜임
  ㅇ 텍스트 기반(text-based)의 응용계층 프로토콜
     - HTTP 및 SMTP 프로토콜에 바탕을 둔 요청-응답 텍스트 메세지
        . HTTP의 클라이언트/서버 통신방법 및 URL 주소방식 등을 이용하여 구현 용이
     - SMTP의 텍스트 인코딩 방식 및 헤더 형태를 그대로 이용
  ㅇ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요청과 응답 구조로 동작   ☞ SIP 요청 응답 참조
     - 클라이언트(UAC)에서 서버(UAS)로의 호 설정 요청시 메소드를 이용
        . 메세지 구조가 헤더와 바디(본체)로 구성 (HTTP와 유사)
     - 서버(UAS)에서 클라이언트(UAC)로의 응답은 숫자에 의한 상태코드를 전달하게 됨
  ㅇ 주소방식은 URI 방식을 응용
     - E-Mail과 유사한 형태의 주소를 이용해 사용자 식별  ☞ SIP URI Scheme 참조
  ㅇ 세션 설정 후, 실제 데이터 스트림은, 주로 RTP 사용
     - 사용자 간에 실제 통화 내용을 전달하는(주고받는) 프로토콜로는,
     - 호 설정 이후에, 실제 데이터 전달은, 주로 RTP 활용 (즉, RTP 이외도 가능)
     - 단, SIP 자체를 활용하여, 단순 테스트 내용의 전달도 가능
  ㅇ 사용자 이동성 (Personal Mobility) 제공
     - 3GPP의 IMT-2000 VoIP 규격으로 기확정
3. SIP의 프로토콜 계층
      ㅇ SIP 호 신호의 전달 프로토콜로는,
     - 전송계층 프로토콜 중에, UDP 를 기본으로 사용하나, TCP,SCTP,TLS 등도 가능함
  ㅇ 포트번호는, UDP 포트 5060 을 기본값으로 사용
4. SIP의 구성, 절차, 메세지 종류, 서비스
  ㅇ 구성요소  ☞ SIP 구성요소 (요소간 연결관계 개략도 포함)
     - SIP UA (UAC, UAS), SIP 서버 (Registrar Server, Proxy Server, Redirect Server 등)
  ㅇ SIP 호 처리 절차 ☞ SIP 호처리 
     - SIP 단말 간 직접 연결 例,  SIP 서버 경유 호처리 例
  ㅇ SIP의 메세지 및 구성체계  ☞ SIP 메세지 (호 세션 설정), SIP 메소드
     - (요청 : invite,ack,bye,cancel,register,options 등)
     - (응답 : 1xx,2xx,3xx 등)
  ㅇ SIP를 응용한 다양한 부가 응용 서비스  ☞ IMPP 등
5. SIP의 표준 
  ㅇ RFC 2543 :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1999)
     - IETF의 MMUSIC(Multiparty Multimedia Session Control) Working Group에서 작성
     - 이후 별도 SIP WG 등이 구성되어 추가 표준 작업들이 진행
  ㅇ RFC 3261 (2002) : RFC 2543을 대체함
  ㅇ SIP 호 신호의 전달 프로토콜로는,
     - 전송계층 프로토콜 중에, UDP 를 기본으로 사용하나, TCP,SCTP,TLS 등도 가능함
  ㅇ 포트번호는, UDP 포트 5060 을 기본값으로 사용
4. SIP의 구성, 절차, 메세지 종류, 서비스
  ㅇ 구성요소  ☞ SIP 구성요소 (요소간 연결관계 개략도 포함)
     - SIP UA (UAC, UAS), SIP 서버 (Registrar Server, Proxy Server, Redirect Server 등)
  ㅇ SIP 호 처리 절차 ☞ SIP 호처리 
     - SIP 단말 간 직접 연결 例,  SIP 서버 경유 호처리 例
  ㅇ SIP의 메세지 및 구성체계  ☞ SIP 메세지 (호 세션 설정), SIP 메소드
     - (요청 : invite,ack,bye,cancel,register,options 등)
     - (응답 : 1xx,2xx,3xx 등)
  ㅇ SIP를 응용한 다양한 부가 응용 서비스  ☞ IMPP 등
5. SIP의 표준 
  ㅇ RFC 2543 :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1999)
     - IETF의 MMUSIC(Multiparty Multimedia Session Control) Working Group에서 작성
     - 이후 별도 SIP WG 등이 구성되어 추가 표준 작업들이 진행
  ㅇ RFC 3261 (2002) : RFC 2543을 대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