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PLS에서, LSP (Label Switched Path, 라벨 교환 경로) 이란?
  ㅇ MPLS 망 종단 양쪽의 MPLS 노드 간에 라벨이 스위칭(교환)되는 경로
     - 일명 MPLS 터널 (MPLS Tunneling) 이라고도 함
        . 연결지향적 채널 특성을 갖음
  ㅇ 즉, LSP에 의해,
     - MPLS 망 종단 양쪽에 있는, 입구 노드와 출구 노드 간에, 
     - 종단간 형성 가능한 연결지향적 경로 단위로써,
     - 경로 그 자체가 스위칭(교환)될 수 있음을 의미함 
 
2. LSP 의미
  ㅇ 트래픽 특성이 같은 그룹의 논리적인 경로 
     - 동일한  FEC(Forwarding Equivalence Class)로 할당되어진 모든 패킷들이
       Ingress Node (입력 노드)에서 Egress Node (출력 노드)까지 전달되는 경로
        . 어떤 한 FEC에 속하는 패킷들의 그룹을 레이블로 표시하게 됨
     - 비 MPLS 망에서 MPLS 망으로 유입되는 패킷들의 경우
        . 특성에 따라 분류(Classification)되어 적합한 각각의 LSP로 분배되게 됨
  ㅇ 하나의 LSP에는, 여러 패킷 플로우(동일 FEC에 속하는)가 (다중화되어) 흘러다닐 수 있게 됨
     - 이러한 점에서 LSP는 ATM의 Virtual Path와 유사
  ㅇ 결국, MPLS에서는 기존에 비연결형으로 동작하는 인터넷망 내에서,  
     - 논리채널의 일종인 LSP를 연결지향적으로 구성함으로써, 
     - 인터넷 트래픽 흐름에 대한 제어 기능이 가능
  ㅇ LSP 경로의 생성/유지/해제
     - LSP는 기존의 3계층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결정된 경로를 통해서, 생성/유지/해제를 하게 됨
3. LSP 주요 토폴로지 구분
  ㅇ 단일 입구,출구
     - 단일한 경로 만 나타남
  ㅇ 다중 입구, 단일 출구
     - 서로 다른 발신지 패킷들이 서로 다른 입구로 들어와서 하나의 FEC에 할당되어
       단일 출구(기업 인프라넷 등)로의 다중 경로
  ㅇ 유니캐스트에 의한 다중 출구
     - 네트워크 계층 목적지 주소에 기반하여 FEC 할당 (가장 일반적)
  ㅇ 멀티캐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