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입 (mouth)
ㅇ 입술부터 후두까지의 부위
- 공기가 출입하고, 음식물을 받아들이고, 소리를 내는 기관
2. 구성
ㅇ 구강 (oral cavity, 口腔 : 입안)
- 긴 소화관이 시작되는 곳. 입안의 공간
ㅇ 구개 (palate, 口蓋 : 입천장)
- 구강과 비강이 구분되는 경계
ㅇ 치조 (alveolus, 齒槽 : 이틀)
- 위턱,아래턱에 있는 턱뼈의 공간
. 잇몸 뒤쪽에 자리하고 있음.
ㅇ 혀 (tongue)
- 근육 : 가로무늬근(횡문근)
. 내안근(고유근) : 혀 속에 들어있는 근육
. 외인근(외래설근) : 목구멍 쪽에 연결된 근육
- 설유두 : 혀 표면에 덛은 작은 돌기들
- 미뢰 (taste bud, 味蕾) : 미각 기관
ㅇ 침샘 (salivary gland)
- 침이 만들어지는 곳
- 큰 침샘 : 좌우 각 3개씩
. 귀밑샘(이하선), 턱밑샘(악하선), 혀밑샘(설하선)
- 작은 침샘 : 혀 표면, 입안 점막에 분포됨
ㅇ 치아 (Tooth, 齒牙)
- 음식을 자르고, 분해하고, 갈아서 쉽게 삼킬 수 있게 하는 기계적 소화의 주요 역할을 함
2. 침, 타액 (saliva)
ㅇ 침샘에서 분비되는 소화액
- 매일 약 1~1.5 리터(L)를 분비
ㅇ 성분 구성
- 대부분이 수분(99.5%)이며,
- 소화 효소(아밀라아제), 점성이 있는 단백질(뮤신) 등을 함유
* 침샘에 따라, 긴장할 때 등에 따라서도, 점성이 달라짐
ㅇ 역할
- 음식물이 식도를 통해 부드럽게 나아가게 함 : 윤활제 (단백질 뮤신)
. 뮤신 (mucin, 점액소) : 소량의 탄수화물이 단백질과 결합한 당 단백질로 됨.
.. 물과 섞이면 점액을 만들어냄
- 탄수화물의 분해 : 소화 효소 (아밀라아제)
- 침에 녹은 음식물이 미각수용기(미뢰)를 자극 : 음식물을 녹임
- 청결,살균,세정 : 세균을 죽임 (라이소자임,면역글로불린A)
- 충치 예방 : 입속 pH 중성화
- 입을 부드럽게 움직이게 함 : 말을 하기 쉽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