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t Test t 검정 | (2019-11-03) |
t Value, t 값 |
1. t 검정 (t Test) ㅇ 주로, 두 집단 간 평균을 비교 검정 - 두 집단의 평균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판단하기 위한 통계적 검정 방법 ※ [참고] => t 분포 참조 2. t 검정 특징 ㅇ 비교적 작은 30개 이하의 작은 시료 표본에 대해 활용 - 소 표본을 이용하여 모 평균을 검정 ㅇ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르는 정도는 알지만 (가정은 하지만), -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모를 때 사용 3. t 검정 통계량 ㅇ 단일 표본 t 검정 통계량 : 모 평균 μ의 추정 통계량 임 - 모 표준편차 σ를 모를 때, 표본 표준편차 s를 이용, t 검정 통계량으로 변환시켜 표현한 것. ( X̅ : 표본 평균, μ : 모 평균, s : 표본 표준편차, n : 표본 수, 자유도 : n-1, Z : Z 변환 ) ㅇ t 분포를 따르는 t 검정 통계량을 이용하여, - 모 평균 및 표본 평균 간에 차이(유의성)가 있는지 t 검정을 할 수 있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