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R, 802.17   Resilient Packet Ring  

(2023-05-22)

1. RPR (Resilient Packet Ring, Resilient : 회복력있는,탄력있는)이더넷 기술을 기반으로하여, 메트로 망에서 효율적으로 인터넷 트래픽을 처리 전송하도록,
     - 2000년도 `IEEE 802.17 위원회`에서 표준화시킨 기술

  ※ 기존 이더넷에서는, 불가능 또는 취약점을 보완하려는, 차세대 이더넷 기술 임
     - 例) 동적인 대역폭 할당, 정책기반관리, 장거리 전송기술 구현 등

  ※ 주로, 차세대 NG-SONET/SDH에 경쟁하는 기술로 여겨짐
 

2. RPR 주요 특징이더넷SONET/SDH의 단점을 피하고 장점 만을 따낸 기술
     - SONET/SDH => 복잡성,비효율적 자원이용,경제성 등 
     - 이더넷 => 보호 및 복구에 대한 미지원, 지연, 지터 등

  ㅇ 라우터에 RPR 바로 적용 가능
     - 다크 파이버 사용시, 중간에 별도 전송장비가 필요없이 라우터끼리 바로 RPR 기술을
       사용하여 연결이 가능

  ㅇ Multi-node Ring Topology 로써 CSMA/CD는 불필요,
     - 즉, 링형 구조로 연결되며 링 상에 있는 노드들은 전송 매체를 공유
        .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프레임은 목적지 노드에서 제거되고,
        . 그만큼의 대역폭을 다른 노드들이 사용 가능하여 공간적 재사용 가능

  ㅇ 동기식전송망 처럼 50 ms 이내의 복구시간이 목표
     - 정상동작시 2개의 링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장애 발생시 우회 경로 사용

  ㅇ Dual Ring 구조로 두 Ring 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트래픽 전달
     - 바깥쪽 링(Ringlet 0)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트래픽 전송, 안쪽 링(Ringlet 1)을
       통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트래픽 전송
     - 소스 노드는 2개의 링 중 최단 경로를 갖는 링으로 트래픽 전송

  ㅇ 가변 대역폭 지원

  ㅇ 장거리 전송이 가능토록 함
     - 최대 70Km 


3. RPR 주요 기술

  ㅇ Resiliency (장애복구, 탄력성)
     - 동일한 목적지에 대해 2 이상의 경로를 구성하여 노드링크 장애시에도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
     - 보호절체 방법
        . Steering (기본) : 장애 발생시 소스 노드에서 송신 방향을 변경하여 새로운
                            경로를 설정하여 목적지로 전송하여 주는 방법
        . Wrapping (선택) : Edge node에서 트래픽을 Wrapping하여 목적지로 우회 전송
                            시키는 방법

  ㅇ Spatial Reuse (공간적 재사용)
     - 수신 노드 제거(Destination Stripping) 방식을 사용하여 해당 대역폭을 다른
       노드가 사용 가능
     - 기존에 토큰 링이나 FDDI는 송신 노드 제거(Source Stripping) 방식 사용

  ㅇ Fairness (공평성)
     - 각 노드들이 공평하게 링을 공유함으로써 특정 트래픽링크 대역폭 독점을 방지
       하도록 공평성 알고리즘을 수행

  ㅇ Priority (우선순위)
     - 링크 상의 노드들은 전송하고자 하는 트래픽이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QoS 서비스 등급을 구분 지원. 3단계의 서로다른 우선순위.
        . HP(High Priority), MP(Medium Priority), LP(Low Priority)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