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reciation   감가상각, 감가상각비

(2023-04-26)

1. 개요

  ㅇ 감가(減價)
     - 자산시간이 지나거나 생산활동 등에 사용하여 효용성이 떨어져서
       자산가치가 감소하는 현상

  ㅇ 상각 (amortization)
     - 취득 원가를 체계적 방법에 의해, 각 회계 기간별로 배분 감소시키며, 
       그 금액을 당기 비용처리하는 것

  ㅇ 감가 상각
     - 자산의 수명 동안의 가치저하 비용회계상으로 (매기별로 연속 시행하며) 처리하는 행위
     - 자산의 가치를 차감하는 절차


2. 감가상각 구분

  ㅇ 개념적 구분
     - 경제적 감가상각 (Economic Depreciation)
        . 실질 가치에 의한 감가상각
     - 회계적 감가상각 (Account Depreciation)
        . 세법상의 감가상각
        . 세금(소득세)의 부과를 위해 인위적인 계산방법에 의해 감가 적용.

  ㅇ 감가상각 방법의 분류  
     - 균등액상각법 (정액법)
     - 가속상각법 (정률법, 연수합계법, 생산량비례법)
     * 이의 적용 例로는,
     - 건물, 구축물, 무형자산       : 정액법 
     - 건물, 구축물 이외의 유형자산 : 정률법 
     * 통상, 내용연수가 지나게되면 장부가액은 취득가액의 10%가 됨


3. 감가상각의 목적, 의의비용수익에 대응시키기 위함
     - 즉, 고정자산에 투하된 자본을, 제품의 판매 수익을 통해 회수코자 하는, 개념적 회계 처리
  ㅇ 감가상각은 직접적인 현금의 유출은 아니지만, 손익계산서 상에서 비용으로 처리
  ㅇ 현금회계상으로 수입 계정에 남게되기 때문에 수익으로 처리됨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