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통신 주요 용어 | (2025-01-28) |
ILS, VOR |
1. 항공 통신 주요 용어
ㅇ ARINC (Aeronautic Radio Inc., 미국항공무선협회)
- 국제적 자발적 표준화기구 역할
- 항공 전자통신 관련 제품 및 규격을 생산
ㅇ Avionics (항공 전자)
- 항공 관련 전자 기술/제품을 총칭
. 항공 통신, 항법, 조종, 운항관리, 관제 등
ㅇ ATN (Aeronautical Telecommunication Network)
- 항공 지원 지상망
ㅇ DME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거리측정장치)
- 항공기(Interrogator),지상국(Transponder) 간의 펄스 신호의 왕복 소요 시간으로 거리 계산
- DME 채널
. 채널 간격 : 1 MHz
. 채널 구성 : 252개의 채널로 구성 (X 채널 126개, Y 채널 126개)
- DME 분류
. 보통 정밀도 : DME/N
. 고 정밀도 : DME/P
ㅇ HFDL (HF Data Link)
- HF 대역에서 기존 항공 통신이 음성 위주였으나, HFDL은 음성 포함 데이터 위주 통신
- 기술적 특징
. 주파수대역 : 2.8 ~ 22 MHz
. 변조방식 : MPSK
. 측파대 : SSB 상측파대
. 다원접속 : Slotted TDMA
ㅇ ILS (Instrument Landing System, 계기착륙시설)
- 항공기의 안전하고 정확한 착륙을 지원하는 지상 유도 시스템
. 조종사에게 활주로 중심선 및 강하각 정보를 제공
- 구성 요소
. Localizer (로컬라이저) : 좌우 방향 유도 (활주로 중심선 정렬)
. Glide Slope (글라이드 슬로프) : 수직 방향 유도 (적절한 착륙 경사 유지)
. Marker Beacon (마커 비콘) : 특정 지점에서의 위치 알림 (외부, 중간, 내부 마커)
- 기술적 특징
. 주파수 대역 (Localizer) : 108.10 ~ 111.95 MHz
. 주파수 대역 (Glide Slope) : 329.15 ~ 335.00 MHz
. 착륙 정확도에 따라 등급 구분 : CAT I, CAT II, CAT III(A/B/C)
- 특징
. 악천후에서도 착륙 가능
. 자동 조종과 연계되어 자동 착륙(Autoland) 지원 가능
ㅇ VOR (VHF Omni-directional Radio Range, 전방향표지시설)
- 항공기에게 방향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항법 시설
- VHF 대역(108~117.975 MHz)에서 작동
- 기능
. 항공기는 수신한 신호를 통해 송신국으로부터의 방위각(Azimuth)을 결정
- 기술적 특징
. 주파수 대역 : VHF 대역, 108 ~ 117.975 MHz
. 서비스 거리 : 저고도용(Low altitude), 고고도용(High altitude) 등 여러 등급 존재
. 변조 방식 : 30Hz 기준 신호와 위상차를 이용한 위상 비교법
- VOR 종류
. Conventional VOR (CVOR) : 기계적으로 회전하는 방식
. Doppler VOR (DVOR) : 전자적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향상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편집 이력          
편집 격려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