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BX (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 구내 교환기)
ㅇ 사업소내 또는 특정기업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전화 교환기
- 외부 전화망(공중전화교환망, PSTN)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면서,
- 내부 통화(내선)와 외부 통화(외선)를 모두 처리할 수 있음
2. PBX의 주요 기능 및 특징
ㅇ 내선 간 통화 기능
- 사무실 내 직원끼리는 내선번호(보통 3~4자리)로 간단히 통화 가능
ㅇ 외선 연결 기능
- 교환기를 통해 공중전화망(국선)과 접속하여 외부로 발신하거나 외부 전화를 수신 가능
ㅇ 통화 제어 및 관리 기능
- 착신 제한, 통화 녹음, 호출전달(착신전환), 회의통화, 보안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 제공
ㅇ 효율적 회선 이용
- 외부와 연결되는 국선 회선 수를 최소화
. 다수의 내선이 이를 공유하여 비용 절감 효과 가능
3. PBX의 교환 기능 유형
ㅇ 구내 교환 기능
- 과거의 수동식 교환기(교환원이 수동으로 선로를 연결)를 대체하여,
. 전자식 자동 교환 방식으로 구내선 간 접속 수행
- 내선 이용자는, 단순히 수화기를 들고 내선번호를 누르면 자동으로 내부 통화 가능
- 또한, 다양한 부가서비스(착신전환, 회의통화, 내선그룹 관리 등) 제공 가능
ㅇ DOD (Direct Outward Dialing, 구내 자동 발신 회선) 기능
- 내선 전화기에서 직접 외부 전화번호를 누르고 발신할 수 있는 기능
. 교환원을 거치지 않으므로 업무 효율이 높고,
. 각 내선별 통화기록 및 과금 관리가 가능함.
- 例) 내선 사용자가, 통상 0 이나 9 등을 먼저 다이얼 한 후, 외부 전화 발신
ㅇ DID (Direct Inward Dialing, 구내 자동 착신 회선) 기능
-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를 교환원을 거치지 않고 해당 내선으로 직접 연결하는 기능
. 기업에 부여된 외부 전화번호(국선)에 내선 확장번호를 매핑하여,
. 외부에서 곧바로 특정 부서나 담당자에게 연결되도록 함.
- 例) 대표번호가 02-555-1000이고 내선이 234라면,
. 외부 발신자가 02-555-1234로 전화 시 해당 내선으로 직접 연결됨
- 고객센터, 영업부서, 콜센터 등 통화량이 많은 환경에서 특히 유용함
4. PBX의 교환기 유형
ㅇ Centrex (Central Exchange Service)
- 사업자(전화국)가 구내 교환 기능을 전화 사업자로부터 제공 받는 서비스
. 이용자는 별도의 PBX 장비 없이 전화국 장비를 공유(임차)하여 PBX 수준의 기능을 이용 가능
ㅇ IP-PBX (Internet Protocol PBX)
- 음성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IP 네트워크에서 처리하는 PBX
. VoIP 기술을 기반으로, 인터넷망 또는 사내 LAN을 통해, 내 외선 통화를 수행함
. 소프트웨어 기반 제어가 가능하여 유지관리 용이, 이동성 높음
※ [비교] (범례 : ① PBX, ② Centrex, ③ IP-PBX
- 설치 위치 : ① 이용자 구내, ② 전화국(사업자 측), ③ 구내 (서버형 or 클라우드형 가능)
- 기반 기술 : ① 회선교환 방식, ② 회선교환 방식, ③ 패킷교환 방식 (VoIP)
- 초기 비용 : ① 높음 (장비 설치 필요), ② 낮음 (서비스형), ③ 중간 ~ 낮음
- 유지 보수 : ① 이용자 책임, ② 사업자 책임, ③ 이용자 또는 클라우드 사업자
- 유연성/확장성 : ① 제한적, ② 제한적, ③ 매우 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