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ss Control 접근 제어, 접근 통제 | (2022-06-01) |
1. 접근 제어 (Access Control)
ㅇ [정보보호/보안]
- 보안 상 위험으로부터 제반 시설 및 환경을 보호하는 보안 대책
. 인증 접근 제어 : 비인가자(또는 단말)의 사용을 막는 접근 통제
. 패킷 접근 제어 : 불필요 패킷을 걸러내거나 입출 제한 ☞ Access Control List 참조
ㅇ [매체 접근 제어]
- 공유 링크 상에 대한 제어권을, 어떤 장치가 가지는가에 대한, 결정 방식
. [참고] ☞ Media Access Control (매체 접근 제어) 참조
2. [정보보호/보안] 접근 통제/제어
ㅇ 선택된 대상 만 접근이 허락됨
- 결국, 로그인(인증)이 성공한 경우 만 정보 접근이 허용됨
ㅇ 접근 통제 절차
ㅇ 실행 방법
- 접근하려는 대상을 검사하여 차단 정책과 비교함
3. [정보보호/보안] 주요 접근통제 방식 구분
ㅇ 사용자 계정관리를 통한 사용자 접근통제
ㅇ 정보 암호화를 통한 접근통제
ㅇ 방화벽 등을 이용한 패킷에 대한 네트워크 접근통제 및 시스템 접근통제
- 네트워크 접근 제어
. 패킷 필터링
.. 주로, `Access Control List`을 사용하여 패킷을 걸러냄 ☞ ACL(접근제어목록) 참조
..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패킷을 걸러냄 (트래픽 흐름 제어)
. 접근통제 범위 결정
.. 주로, `VLAN`에서 사용
. 포트 기반(port-based)의 접근제어
.. 주로, `무선 LAN 접속방식(접근통제)`에서 쓰여짐 ☞ 802.1x 참조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
차재복)          
편집 이력          
편집 격려 (소액 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