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eneralized MPLS (GMPLS)
ㅇ 전송속도를 증가시키는 기존 방안 2가지로써,
- DWDM (전송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MPLS (전송절차를 간소화시키는 방법)를,
- 통합 확장하여 일반화시킨 방식
ㅇ MPLS를 기반으로,
- 광 회선망(OTN, SONET/SDH, WDM, TDM 등)과 같은 비 패킷 기반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해,
- 확장된 프로토콜
2. GMPLS 특징
ㅇ GMPLS는, IP 패킷 단위가 아닌,
- 광파장분할망(파장분할다중화), TDM망 등 이종 전송망의 전송 단위를,
일반화된 레이블로 해석함
ㅇ MPLS 제어평면을 다양한 스위칭 및 포워딩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 일관되고 확장성 있는, 일반화된 전송 및 제어 체계를 도모함
. RSVP-TE 등의 GMPLS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 트래픽을 제어하고,
. 코어(Core)에서 엣지(Edge)까지, 계층적인 GMPLS-LSP 중첩 체계를 구성하여,
. 일관되고 확장성 있는 전송 및 제어 체계를 이루려 함
ㅇ 따라서, 기존의 계층 구분에 따른 구분이 모호함
- OSI-RM 계층모델 상의 1,2,3 계층이 함께 존재함에 따라, 기존의 계층 구분이 모호
ㅇ 광 특성의 파라미터화가 필요함
- 기존에, 광 전송분야에 설치된 기존 전송장치의 경우에,
. 한번 설치하면 특별한 문제가 없는한 초기 설치 상황이 지속되므로,
. 광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규정할 필요성이 거의 없었으나,
- 새로이, GMPLS에서는,
. 시그널링에 따라 광 네트워크를 On Demand 방식으로 새로 구성하여야 하므로,
. 광 특성을 파라미터화 할 필요 있음
ㅇ 기타 다른 표준들과 깊은 관련성 있음
- 일반화된 기술 방안 임에 따라,
- 다른 여러 라우팅 프로토콜, 트래픽 엔지니어링, 시그널링 프로토콜 등의 표준들과
- 밀접한 관련을 맺고 표준화되고 있음
3. 참고사항
ㅇ 표준화 단체 : IETF
ㅇ GMPLS 사용 예시
- 광 전송망(OTN, WDM)에서, 자동 설정 및 제어
- 통신사 백본망에서, 회선 자동 예약
- 데이터센터 간 연결에서, 고속/고용량 회선 자동 구성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