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5.2 인터페이스
  ㅇ 가입자망과 로컬교환기 간 정보전달을 체계화시킨 프로토콜을 따르는 인터페이스
  ㅇ V5.2 인터페이스 목적
     - 표준화된 개방형 인터페이스로써,
     - 가입자망의 개방형구조를 구현하는데 있음
2. V5.2 인터페이스 장점
  ㅇ 경제성
     - 기존의 DLC와는 달리 단지 한계위만의 E1 다중화(최대 16개)로 광가입자전송시스
      템 등과 교환기 간 접속이 가능하여,
      ㆍ 광가입자전송시스템의 채널뱅크와 교환기 가입자보드가 동시에 필요없게 되며,
      ㆍ 이에따라 기존 접속방법의 하나인 MDF도 필요없게 된다.
  ㅇ 가입자망 고도화 구현 가능, 광통신의 적용에 유리
  ㅇ 국사 상면적 효율 도모
  ㅇ A/D, D/A 변환이 필요없어 전송지연 감소
  ㅇ 2Mbps 이하의 모든 서비스 도입이 용이함
  ㅇ 가입자망 내의 전달망 구조가 유선, 무선, CATV 등 어떤 서비스라도 가능
3. V5.2 인터페이스 특징 
  ㅇ 기본 속도  : 2Mbps 
  ㅇ 신호 구성  : 공통선신호방식 사용
  ㅇ 인터페이스 : 로컬 교환기와 가입자전송장치간에 직접 E1 접속(최대16E1)을 통하여
                  PSTN 또 ISDN-BRA (Basic Rate Access=2B+D), ISDN-PRA(Primary Rate
                  Access=30B+D)서비스를 제공
4. V5.2 프로토콜 계층구조
  ㅇ 네트워크계층
     - 5개의 서브 프로토콜로 구성
      . PSTN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 BCC 프로토콜, 링크 제어 프로토콜,
        보호 프로토콜
  ㅇ 데이타링크 계층
     - LAP-D 프로토콜의 규격과 절차를 기본으로 함
     - C 채널의 확인 정보 절차에 근거, 서로 다른 정보 스트림을 다중화함
  ㅇ 물리계층
     - 전기적, 물리적 특성
5. LE 와 AN 간의 V5.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
  ㅇ PSTN 및 ISDN 사용자 정보 : 베어러서비스 채널 정보
  ㅇ ISDN D 채널 정보
  ㅇ 5개의 프로토콜 정보
     - PSTN 프로토콜,제어 프로토콜,BCC 프로토콜,링크 제어 프로토콜,보호 프로토콜 
  ㅇ 타이밍 클럭 정보
 
6. V5.2 채널
  ㅇ 통신 채널 : 액티브 C-채널, 스탠바이 C-채널, 물리 C-채널
  ㅇ 베어러 채널
7. 접속구조
                          상위 운용관리시스템
           ───┬──────────────────┬───
                 ┼ Q3                                 ┼ Q3 인터페이스
                 │                                    │
      ─┼─ 가입자망(AN) ──────┼───── 로컬교환기(LE)
       UNI                           V5.2
8. IDLC (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ㅇ IDLC는 Bellcore에서 최초로 사용한 용어
  ㅇ 가입자망과 로컬교환기간 전달되는 정보가 E1이 아닌 T1으로 인터페이스되는
     미국의 표준 프로토콜을 지칭
9. 적용가능 시스템
  ㅇ AN (가입자망) : 광가입자전송시스템  FLC-C, FLC-D, FLC-A, FLC-B 등
  ㅇ LE (로컬교환기) (V5.2 인터페이스 제공) : TDX-10A 개량형, TDX-100, 5ESS-2000,
                                              AXE-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