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n Effect, Skin Depth   표피 효과, 표피 깊이, 침투 깊이

(2025-08-06)

스킨 이펙트


1. 표피효과 (Skin Effect)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전류가 도선의 바깥쪽으로 흐르려는 성질

  ㅇ 또는, 전자기파도체 매질표면 만을 따라 전파하려는 성질


2. 표피깊이/침투깊이(Skin Depth)의 정의

  ㅇ 표피로부터 전류밀도 또는 전기장 등의 크기가 지수함수적(e-zα)으로 감소 함

  ㅇ 표피깊이 정의 : δ
     - 매질 표피에서 전류밀도 또는 전기장 등의 크기가 1/e (37%)까지 떨어지는 깊이

       


3. 표피깊이/침투깊이(Skin Depth)의 유도양 도체(σ/ωε > 100)에서, 
      
[# α = ω\sqrt{με\left(\frac{1}{2}\sqrt{1+\left(\frac{σ}{ωε}\right)^2}-1\right)} \approx ω\sqrt{με}\sqrt{\frac{1}{2}\frac{σ}{ωε}} = \sqrt{\frac{ωμσ}{2}} #]
[# δ = \frac{1}{α} = \frac{1}{\sqrt{πfμσ}} = \sqrt{\frac{2}{ωμσ}} #]
- (α: 감쇠정수, f: 주파수, μ: 투자율, ε: 유전율, σ: 도전율) ㅇ 결국, 도체(Conductor)에서 표피깊이(δ)의 의존성 - 주파수(f), 투자율(μ), 도전율(σ) 등에 따라 달라짐 . 즉, 높은 주파수일수록, 큰 투자율(큰 도전율)일수록, 표피깊이는 작아짐 4. 완전 도체에서, 표피깊이/침투깊이(Skin Depth)도전율 σ = ∞ 이므로, 표피깊이 δ = 1/∞ = 0 ※ 즉, 완전 도체는 외부 장의 변화에 그대로 따르게 됨 - 어떤 복원력도 없으며, - 어떤 고유진동수도 없고, - 어떤 흡수도 없고, - 어떤 침투도 없고, - 단지 즉각적인 재방출 만 있게됨 5. 표피효과의 영향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단면적을 줄이므로, 저항을 증가시킴 - 따라서, 표피효과는 전송 케이블손실에 영향을 줌 - 또한, 사용가능 주파수대역을 제한시킴 * 종종, 고주파도체도금 처리( 도금, 도금)하거나, . 표면적이 넓은 리츠선(Litz wire) 같은 특수한 형태를 사용 .. 리츠선 : 일반 동선과 달리, 매우 가는 에나멜 코팅동선으로, 여러 가닥을 꼬아 만든 복합 구조를 가짐 ㅇ 손실방사 - 주파수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도체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커지며, - 궁극적으로 표피효과를 넘어서 전자기파 방사 현상이 발생

평면파 매질 손실 고려
1. 전파정수   2. 복소 전파정수   3. 복소 유전율   4. 손실 탄젠트   5. 고유 임피던스   6. 표피효과  
용어해설 종합 (단일 페이지 형태)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