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2025-01-28)

인슐린, 인슐린 저항성


1. 당뇨병 (diabetes mellitus)

  ㅇ 인슐린(혈당 조절 호르몬) 작용의 부족에 의한, 만성적인 고 혈당 (고 포도당 농도) 상태
     - 인슐린을 너무 적게 분비 하거나, 전혀 분비 않거나, 체세포가 인슐린에 제대로 반응 않아,
     - 혈액포도당(당) 수치가 너무 높을 때 (과 혈당증으로) 나타나는 병

  ㅇ 임상 특징 : 고 혈당
     - 증상 : 다음(多飮), 다뇨(多尿), 다식(多識)

  ㅇ 구분
     - 1형 당뇨병 : 인슐린 의존성이 심한 경우
        . 랑게르한스섬의 β 세포의 감소 및 인슐린 부족
        . 원인 : 주로, 자가면역 반응에 의해 β 세포가 파괴되며, 인슐린 절대 부족으로 추정
        . 치료 : 인슐린 투여

     - 2형 당뇨병 : 인슐린에 대한 반응성이 나빠지는 경우 (인슐린 저항성)
        . 인슐린 분비 감소, 수용체 감소
        . 원인 : 유전적 소인을 갖은 사람의 나쁜 생활 습관으로 추정
        . 치료 : 식이요법, 운동요법, 인슐린 투여


2. 인슐린 (insulin)  :  당뇨병 호르몬인체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호르몬
     - 세포가 당을 흡수하여 가용 에너지로 전환토록 도움 (췌장에서 분비)
     - 세포막의 인슐린 수용체에 달라붙어 포도당이 세포로 흡수되도록 도움
     - 혈당 저하에 관여하는 유일한 호르몬 임

  ㅇ 혈액포도당,지방산,아미노산 농도가 증가하면, 
     -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 있는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

  ㅇ 인체에너지가 충분하면, 인슐린은,
     - 간에다가 글리코겐(전분)으로 저장
        . 간은, 전체 질량의 5% 정도를 글리코겐으로 저장하며, 이를 넘어서면, 중성지방으로 저장함 
     - 혈액아미노산을, 근육세포로 보내고,
     - 남아도는 지방산은, 지방세포중성지방으로 저장시킴

  ㅇ 인슐린 저항성 (insulin resistance)
     -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에 대한 몸의 반응이 감소하여,
     - 근육,지방 세포포도당을 잘 섭취 못하게 되고,
     - 이를 극복하고자 더욱 많은 인슐린이 분비되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는 것

병리학
1. 병리학   2. 병리학 용어   3. 대사 이상   4. 당뇨병   5. 염증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편집·운영 (차재복)          편집 이력          편집 격려 (소액 후원)
[병리학]1. 병리학   2. 병리학 용어   3. 대사 이상   4. 당뇨병   5. 염증  

  1. Top (분류 펼침)      :     1,607개 분류    6,634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