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언어의 구성 요소
  ㅇ 언어이란?, 
     - 의미 있는 요소들이 여러 방법으로 결합하여 문장을 생성하는 규칙이 지배하는 의사소통 체계
  ㅇ 언어를 구성하는 최소의 요소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문법 (규칙성)           : 구문의 표현 규칙 (언어의 생성 메커니즘)
     * 어휘 (형태론)           : 구문에 기반을 두고있는 구성 요소들 (토큰의 구조)
     - 구문/구조/형식 (통사론) : 언어가 구성되는 순서/방법/구조 (언어의 구조)
     - 내용/의미 (의미론)      : 형태소,단어,문장,담화 등의 단위가 주는 의미(Meaning)
2. 형태소 (Morpheme, 形態素)
  ㅇ 의미를 가지는 요소로서는 더이상  분석할 수 없는 최소의 문법 단위
  ㅇ 영어,한글에서 형태소의 비교
     - 영어에서는, 형태소가 단순함 (例: 단수형 명사와 's'를 붙인 복수형 등 규모가 작은 편임)
     - 한글에서는, 형태소가 풍부하게 있음 (例: `책`+`가방` => 두 형태소 합쳐짐 => `책가방`)
  ㅇ 형태소 분석 (Morpheme Analysis)  :  문장을 형태소 단위로 나누고, 
     - 각각의 의미와 문법적 역할을 분석하는 과정
        . 例) "학생들이 공부했다"  →  학생(명사) + 들(복수 접미사) + 이(주격 조사) + 
                                       공부(동사 어간) + 했(과거) + 다(종결)
3. 형태론, 통사론
  ㅇ 형태론 (形態論, Morphology)
     * 언어학에서, 낱말(단어)의 어형 변화(inflections)를 연구
        . 즉, 자음,모음으로부터 낱말이 만들어지는 규칙을 연구
     - 단어의 어형(語形) 변화를 다루는 문법의 한 분야
        . 형태소들이 결합하여 낱말을 형성하는 체계/규칙
        . 형태소 및 낱말을 기본 단위로 함
  ※ 형태론, 통사론의 비교
     - 형태론 (Morphology)은, 단어의 어형 변화/교체를 연구하고, 
        . 형태소들이 단어를 구성하는 원리를 연구
     - 통사론 (Syntax)은, 단어들의 결합을 연구대상으로 함
        . 단어들이 문장을 구성하는 원리를 연구
4. 어휘 (Lexeme) : 형태론
  ㅇ 어휘 항목 (Lexeme, Lexical Element), 어휘 토큰 (Lexical Token)
     - 가장 낮은 단위로써 의미적으로 구분 가능한 요소들
        . 문장 구성 요소
     - [전산]
        . 각 토큰을 이루는 문자열들을 모아놓은 집합체
        . 때론, 심볼/단어/예약어/키워드 등을 총칭
           .. 例) 수치 리터럴, 연산자, 특수어 등 각각으로 구분 가능
        . 사실상, 프로그램은, 
           .. 문자들의 열거 보다는 어휘 항목들로 구성된 문자열 임
     * 한편, 토큰(Token)은, 각 어휘 항목을 구분하는 최소 분류 단위
        . 즉, 의미적으로 구분되는 최소 단위  (어휘 항목의 분류 => 토큰)
           .. 例) 예약어, 식별자, 수치 리터럴, 연산자 등
  ㅇ 어휘 구조 (Lexical Structure)
     - 구문에 기반을 두고있는 구성요소들의 형태 구조 (즉, 토큰의 형태 구조)
  ㅇ 어휘 분석 (Lexical Analysis)
     - 의미있는 문법 단위로 분리하는 것
     - 분리 순서 (토큰화) 例)
        . [언어]  문단 -> 문장 -> 단어 -> 형태소
        . [전산]  원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토큰이라는 의미있는 문법 단위로 분리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