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훈트의 규칙 (Hund's Rule)
  ㅇ 원자 내 전자들이, 오비탈들에 채워지는 순서가, (즉, 전자 배위가)
     - 전자들이 최대한 같은 스핀 양자수를 갖도록 배치된다는 규칙
  ㅇ 전자 스핀 관점에서, 
     - 스핀 양자수 이외 다른 양자수가 모두 동일한 전자들은,
     - 최대한 같은 스핀 양자수를 가지려고 함
  ㅇ 쉽게,
     - 전자는 각 오비탈 자리 마다 한꺼번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 s 오비탈 → 1개 자리 (2 전자 수용 가능)
        . p 오비탈들 → 3개 자리 (각각 2전자씩 → 총 6 전자 가능)
        . d 오비탈들 → 5개 자리 (각각 2전자씩 → 총 10 전자 가능)
        . f 오비탈들 → 7개 자리 (각각 2전자씩 → 총 14 전자 가능)
     - 각 오비탈 자리에 동일 스핀을 가지면서 하나씩 들어간 다음 나머지에 들어감
2. 훈트의 규칙에 의한 전자 배치 예시
  ㅇ 例) 2p2 부껍질에 2개 전자가 채워질 때의 경우
     - 스핀이 모두 동일 방향이 되도록 하고,
     - 각각 서로 다른 오비탈에 하나씩 채워짐
    
3. 훈트 규칙의 3가지 법칙
  ㅇ 최대 스핀 다중도
     - 전자 스핀이 최대가 되도록 전자 배치
     - 이는 각각의 전자들이 가능한 한 홀 전자가 되도록 배치되게 됨
  ㅇ 최대 궤도 각운동량
     - 주어진 스핀 다중도에서 궤도 각운동량 (L)이 최대가 되도록 전자 배치
  ㅇ 최소 에너지 상태
     - 전자가 배치될 때, 가능한 한 낮은 에너지 상태를 차지하도록 배치
     * 이러한 규칙들은, 전자 배치의 안정성을 높이고, 원자의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