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합 필터, 상관기 비교
  ㅇ 정합 필터
     - 입력 신호에 정합시키는 필터링 수행 
        . (입력 신호 파형 마다 달라짐, 그때그때 유일하게 정의됨)
  ㅇ 상관기
     - 기지 신호와 수신 신호와의 상관값 계산(곱셈 및 적분)을 수행
  ㅇ 용어 명칭
     - 시간 영역에서는, `정합필터`,`상관기`를 혼용
     - 주파수 영역에서는, 그냥 정합필터(Matched Filter) 라고 만 함
2. 정합 필터, 상관기 간의 등가성
  ※ 펄스 존재 판별 시점에 상관기 및 정합필터 특성이 등가적임
     -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는 펄스의 파형이나 크기는 별로 중요하지 않고,
     - 단지 펄스의 존재 유무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중요한데,
     - 펄스의 존재 유무를 결정하는 바로 그 순간에, 
     - 신호 대 잡음의 크기의 비율을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 바로 정합 필터 또는 상관기 임
3. 상관기/상관수신기 (Correlator/Correlation Receiver) 특징
  ㅇ 수신 신호와 알고있는 신호(알려져있는 전송 신호)와의 상관값을 통해 수신기 구성
  ㅇ 상관기 구성
     - 단순히 곱셈기와 적분기 만으로 이루어짐 
         . s(t) : 전송 신호(기지 신호), r(t) : 수신 신호(미지 신호,관측 신호)
  ㅇ 정합필터에 비해 구현이 용이함
     - 입력 신호 파형 마다 그에따른 임펄스응답을 정합시켜야하는 정합필터에 비해 구현 용이
  ※ 간단한 회로구현 例 => 적분-덤프 회로(Integrate-and-Dump Circuit)
        . s(t) : 전송 신호(기지 신호), r(t) : 수신 신호(미지 신호,관측 신호)
  ㅇ 정합필터에 비해 구현이 용이함
     - 입력 신호 파형 마다 그에따른 임펄스응답을 정합시켜야하는 정합필터에 비해 구현 용이
  ※ 간단한 회로구현 例 => 적분-덤프 회로(Integrate-and-Dump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