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룬 (Balun)
ㅇ 평형회로(Balanced Circuit) 및 불평형회로(Unbalanced Circuit) 간에 신호 변환용 장치
※ [참고]
- 불평형 회로 例
. 싱글엔드형 회로 (단일종단모드신호,Single-ended Signal)
. 동축 케이블(광대역 통신 가능) 등
- 평형회로 例
. 차동 모드 회로
. 과거 시내 통신 선로에 많이 사용되었던 2선식 동선 케이블 등
.. 각 도선에서 신호의 크기는 같고, 신호의 극성(방향)은 반대
. 평형구조의 안테나(다이폴 안테나 등)
ㅇ [유의점]
- 발룬은 임피던스 변환 기능을 갖지 않음
ㅇ [구조 형태]
- `단일(single-ended) 포트`와 `차동(differential) 포트`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음
* [참고] ☞ 평형회로, 불평형회로, 차동모드, 공통모드 차동모드 비교 참조
2. 발룬 종류 (안테나 관련)
ㅇ 슬리브 발룬 (Sleeve Balun)
- 구조 :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실드)에 슬리브(금속 튜브)를 덧씌워서 만든 구조
- 용도 : 주로, 1:1 임피던스 매칭, 비교적 협대역
- 특징
. 불균형(동축 케이블) → 균형(다이폴 안테나)으로 전류를 매끄럽게 전달
. 전류의 불균형으로 인한 케이블의 방사나 수신 방해를 줄임
ㅇ 페라이트 비드 초크 (Ferrite Bead Choke)
- 구조 : 동축선의 외피에 페라이트 비드를 감아서 공통 모드 전류를 억제
- 용도 : 주로, 전자파 간섭(EMI) 억제용 사용됨
- 특징
. 간단하고 저렴하지만 대역폭이 비교적 좁음
. 튜닝이 필요 없는 범용적 발룬 형태
ㅇ 테이퍼 발룬 (Tapered Balun)
- 구조 : 급전선의 임피던스를 점진적으로 변환시키는 점진적(테이퍼형) 구조
- 용도 : 주로, 인쇄회로나 도파관에서 사용됨
- 특징
. 광대역 특성을 가지며 고주파에서도 성능이 우수함
. 단, 복잡하고 정밀한 설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