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lability, Scalable, Extensibilty   확장성, 확장성이 있는, 스케일러빌러티

(2022-01-23)

1. 확장성

  ㅇ [일반]  확장성 (Extensibilty 또는 Scalability)
     - 대규모적인 재설계/재설치 등의 필요없이 확장이 얼마나 쉽고 가능한가에 대한 용이성

  ㅇ [영상분야]  
     - 스케일러빌러티 (Scalability)
        . 화면의 크기나 영상프레임률 등이 달리 정의되어도, 이를 조절 또는 동시에 처리 가능한 능력
     - 익스텐서빌러티 (Extensibility)
        . 어떠한 비트율 전송에 대해서도 단순 정보 추가 만으로 비트율을 쉽게 높일 수 있는 능력
     * 통상, 이 둘을 구분 않고 그냥 스케일러빌러티 라고도 함


2. [ 시스템 일반 분야 ]시스템 설계상에서 확장성이란 용어가 자주 등장하며,
     - 이는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시스템의 성장 및 확대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를 뜻함

  ㅇ 예를들면,
     - 네트워크 설계자는 네트워크의 확산이나 거대한 성장을 도모해야 함
     - 이는 단지 산술적으로 노드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이를 수용토록 확장성 있게 설계해야 함을 의미  
     - 그러나, 산술적 증가는 항상 관리의 복잡성 등을 수반하게 됨
   
  ㅇ 일반적으로, 확장성은,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관점에서 볼 때, 
     - 버스형 보다는 성형이 좋음


3. [ 비디오/동영상 분야 ]영상분야에서의 스케일러빌러티는,
     - MPEG-2 표준에서 최초로 나온 개념으로써, 
     - 화면의 크기나 프레임율이 다른 경우, 이를 조절 또는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

  ㅇ 확장성 능력
     - 화면의 크기나 프레임 율이 다른 경우에 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
        . 해상도가 다른 영상들을 동시에 재현 가능
        . HDTV 품질비트율에서 일부분을 취해 복호하면 SDTV급의 영상 재현 가능

     - 다른 해상도를 갖거나,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전송로에 대한 접근/접속 능력 
        . 수신측 성능을 고려하여 송신측에서 적합한 정도의 성능으로 부호화하는 능력

     - 단 한번의 부호화로 다양한 네트워크 대역폭 및 다른 사용자의 요구를 적응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능력
        . 영상 압축된 하나의 비트열에서  공간 해상도, 시간 해상도 등이 다른 여러 종류
          의 영상들을 복호 또는 호환 가능케하는 능력

  ㅇ 구분
     - 공간적 스케일러빌리티 (Spactial Scalability)
     - 시간적 스케일러빌리티 (Temporal Scalability)
     - 화질적 스케일러빌리티 (SNR Scalability) 등
     * 차세대 기술 => 적응적 스케일러빌러티



Copyrightⓒ written by 차재복 (Cha Jae Bok)
"본 웹사이트 내 모든 저작물은 원출처를 밝히는 한 자유롭게 사용(상업화포함) 가능합니다"